카라 "폭염 폐사 부채질 하는 공장식 축산, 근본 개선 서둘러야"
상태바
카라 "폭염 폐사 부채질 하는 공장식 축산, 근본 개선 서둘러야"
  • 이성훈 기자
  • 승인 2018.07.24 17: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폭염으로 폐사한 농장동물 110만마리 넘어... 밀집 사육 환경에 기록적인 무더위 맞물려 희생 키워
▲ 기록적인 폭염에 따른 농장 동물들의 집단 폐사가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공장식 축산과 대규모 밀집 사육 환경의 근본 개선을 촉구하는 커지고 있다. 이번 폭염으로 닭의 폐사가 100만마리를 넘었다. (사진=카라)
ⓒ 데일리중앙

[데일리중앙 이성훈 기자] 기록적인 폭염에 따른 농장동물들의 집단 폐사가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공장식 축산과 대규모 밀집 사육 환경의 근본 개선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번 폭염으로 폐사한 농장동물은 7월 20일 기준 닭 104만마리, 오리 3만8000마리, 메추리 2만마리, 돼지 7000마리로 110만마리를 넘어섰다. 그 중 닭의 희생이 제일 컸다고 한다.

이처럼 닭의 희생이 컸던 것은 밀집식 사육 환경이 원인이라는 지적이다. 여기에 기록적인 무더위가 맞물려 화를 키운 것이다.

24일 동물권행동 카라에 따르면 국내 사육 닭의 케이지(닭장) 면적 기준은 산란계가 마리당 0.05㎡, 육계가 마리당 0.046㎡으로 매우 좁다. 이는 A4 용지 한 장 크기인 0.06237㎡보다도 작은 수치다.

게다가 실제 케이지에는 더 많은 수의 닭들을 넣곤 하므로 저 기준마저 충족 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현실에서는 허다하다는 것.

국내 산란계 농가 대부분이 5~6마리가 들어간 케이지를 종횡으로 한껏 쌓아 놓은 배터리케이지 사육 방식을 택하고 있다. 케이지 사육보다 평사 바닥 사육이 많다고 하는 육계 또한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다.

태어난 지 35일 만에 몸집을 급속히 불려 도살당하는 육계는 대부분 창문도 없는 무창계사에서 집단 사육된다. 축사가 꽉 들어찰 정도로 빽빽하게 키우기에 닭에게 좁고 불편하기란 산란계에 못지 않다.

공장식 축산의 대량사육 문제는 비단 면적의 개념에 국한되지 않는다. 최소의 비용을 들여 동물의 고통은 아랑곳 않고 죽지 않을 만큼 관리하며 최대의 수익을 내려다 보니 습성을 억누르고 착취하다시피 하는 게 일상이다.

그러나 사육환경 개선에 대한 정부의 태도는 미온적이다.

정부는 지난해 살충제 달걀 사태로 케이지 사육에 대한 문제가 커지자 (케이지 철폐 대신) 케이지 사육 마리당 면적 상향 방침을 내놨다. 기존 케이지 사육의 마리당 면적 기준이었던 0.05㎡를 0.075㎡로 높이겠다는 것이다.

신규 농장에 오는 9월부터 적용되는 이 기준은 기존 케이지 농장의 경우 무려 7년이라는 유예기간을 부여받아 2025년 8월 31일까지 케이지를 넓히면 된다.

이에 대해 카라 김현지 정책팀장은 "미봉책에 유예기간까지 주다니 실질적 개선은 포기한 셈"이라고 정부 정책을 강하게 비판했다.

유럽연합 등지를 포함한 해외에서는 수 년 전부터 케이지 철폐를 선언하고 있는데 국내에서는 고작 케이지 면적을 넓히는 데 치중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김 팀장은 "정부는 사육환경의 근본적 개선과 함께 생명 폐기처분을 당연시하지 말고 적정 사육 마리수에 대한 고민을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대량 사육을 부르는 공장식 축산의 전환을 서둘러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 팀장은 "자체적 상한이 없는 공장식 축산은 폭염 폐사를 부채질하며 시장 가격 논리에 입각한 생명 폐기처분을 무한반복할 것"이라며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미봉책이 아니라 전면적인 방향수정"이라고 강조했다.

이성훈 기자 hoonls@dailiang.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