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50.4%, 탄력근로제 단위기간 확대에 찬성... 반대는 30.9%
상태바
국민 50.4%, 탄력근로제 단위기간 확대에 찬성... 반대는 30.9%
  • 석희열 기자
  • 승인 2018.11.22 10: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부분의 지역·연령·계층에서 찬성 우세... 정의당 지지층은 반대 우세, 노동직·충청권에선 찬반 팽팽
▲ 최근 탄력근로제 단위기간을 현행 최대 3개월에서 6개월이나 1년으로 늘리는 것을 두고 논란이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국민 절반은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료=리얼미터)
ⓒ 데일리중앙

[데일리중앙 석희열 기자] 최근 노동계 최대 쟁점으로 떠오른 탄력근로제 단위기간 확대에 대해 국민 절반은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대는 30%에 그쳤다.

탄력근로제는 기업의 계절적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제도다. 예를 들어 일이 많은 시기에는 주 52시간 일하고 일이 적은 비수기에는 주 28시간 일하는 방식으로 평균 노동시간을 주 40시간으로 맞추는 것이다.

이 경우 기업 입장에서는 성수기에 사람을 새로 뽑지 않아도 되고 주 52시간 일 시키고도 연장 수당을 지급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탄력근로제 도입을 적극 요구하고 있다.

반면 노동계는 장시간 노동에 따른 과로사 등 건강권 침해와 임금 감소 등을 이유로 강력히 반대하고 있다.

여야 정치권은 탄력근로제 단위기간 확대를 전제로 단위기간을 현행 3개월에서 6개월이냐(민주당), 1년이냐(자유한국당)를 두고 협상을 벌일 예정이다.

이런 가운데 tbs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탄력근로제 단위기간 확대에 대한 국민여론을 조사한 결과 50.4%가 '일이 몰리는 성수기, 신제품 출기 시기 등 집중근로가 필요한 기업을 고려해 늘리는 데 찬성한다'고 응답했다.

'특정 기간 업무과중으로 노동자의 건강권이 침해되고 임금 역시 줄어들 수 있으므로 늘리는 데 반대한다'는 응답은 30.9%로 집계됐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18.7%.

충청권과 30대 이하를 제외한 모든 지역과 연령, 진보층 포함 모든 이념성향, 자영업과 사무직, 가정주부, 자한국당과 민주당 지지층에서 찬성 여론이 대다수이거나 우세한 걸로 조사됐다.

반면 학생과 정의당 지지층에서는 반대가 대다수이거나 우세했다.

직업별로는 자영업(찬성 64.7%, 반대 22.6%), 사무직(58.6%, 32.5%), 가정주부(38.0%, 28.4%)에서 탄력근로제 단위기간 확대에 대한 찬성이 우세했다.

노동직(47.2%, 42.8%)과 무직(43.2%, 39.1%)에서는 찬반 의견이 팽팽했고 학생(27.6%, 34.7%)에서는 반대 여론이 높게 조사됐다.

연령별로는 40대(66.2%, 22.8%), 50대(51.9%, 33.3%), 60대 이상(50.2%, 25.4%)에서 찬성이 대다수이거나 절반 이상이었고 30대(42.2%, 39.9%)와 20대(38.6%, 36.4%)에서는 오차범위 안에서 찬성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광주·전라(65.2%, 30.8%), 경기·인천(53.5%, 26.4%), 대구·경북(51.7%, 30.0%), 서울(48.1%, 27.7%), 부산·울산·경남(43.8%, 34.5%) 순으로 찬성 여론이 우세하거나 대다수였다.

대전·충청·세종(44.0%, 40.8%)에서는 찬반 양론이 팽팽하게 엇갈렸다.

이념성향별로는 진보층(57.9%, 29.6%), 중도층(52.4%, 34.2%)에서 찬성이 우세했고 보수층(45.9%, 32.9%) 또한 찬성이 반대보다 높은 걸로 조사됐다.

지지정당별로는 자유한국당 지지층(57.1%, 반대 25.5%), 민주당 지지층(53.5%, 31.3%), 무당층
(48.7%, 25.8%)에서 찬성 여론이 절반 안팎으로 우세했다.

반면 정의당 지지층(34.8%, 49.1%)에서는 반대가 다수였다.

이 조사는 지난 21일 만 19세 이상 국민 500명에게 무선(10%) 전화면접 및 무선(70%)·유선(20%) 자동응답 혼용, 유무선(20%, 80%) 병행 무작위생성 표집틀을 통한 임의 전화걸기 방법으로 실시했다.

통계보정은 2018년 7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 성·연령·권역별 가중치 부여 방식으로 이뤄졌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4%포인트, 응답률은 7.8%(6428명에게 접촉해 최종 500명이 응답 완료)다.

석희열 기자 shyeol@dailiang.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