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각한 화산분화 징후 백두산, 근본적 연구와 국가차원 대응 마련 필요
상태바
심각한 화산분화 징후 백두산, 근본적 연구와 국가차원 대응 마련 필요
  • 김용숙 기자
  • 승인 2019.04.16 08:3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상민·심재권 의원, 백두산 화산 어떻게 할 것인가 토론회 개최... 남북공동연구 필요성 제기
▲ 최근 백두산 천지를 중심으로 화산지진, 가스, 지각변형 등 심각한 화산분화 징후가 나타나면서 백두산 화산분화에 대한 근본적 연구와 범국가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책 마련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15일 국회에서 관련 토론회가 열렸다. (사진=이상민 의원실)
ⓒ 데일리중앙

[데일리중앙 김용숙 기자] 최근 백두산 천지를 중심으로 화산지진, 가스, 지각변형 등 심각한 화산분화 징후가 나타나면서 백두산이 언제, 어떤 규모로 분화할지에 대한 근본적 연구와 범국가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책 마련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 15일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학계·연구기관·언론·정부 부처 관계자 등 전문가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깨어나는 백두산 화산 어떻게 할 것인가' 주제로 토론회가 열렸다.

이 토론회는 민주당 심재권·이상민 의원이 공동 주최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통일부의 후원을 받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포스텍박태준미래전략연구소, 백두산/화산마그마연구그룹이 공동 주관했다.

백두산 화산활동의 감시 연구 활동 공유와 인도주의적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책 마련을 통한 범국가적 차원의 해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백두산은 지하에 거대한 마그마의 존재가 확인된 매우 위험한 활화산으로 알려져 있다. 서기 946년 천지에서 발생한 '밀레니엄 대분화'는 남한 전체를 1m나 덮을 수 있는 엄청난 양의 분출물을 쏟아 냈던 과거 1만년 이래 지구상에서 가장 큰 규모의 분화 사건에 속한다.

특히 2002년에서 2005년 사이에 백두산 천지 근방에서는 화산지진이 3000회 이상 일어나 천지가 부풀어 오르는 등 심각한 화산분화의 징후가 나타나고 있다.

이날 토론회는 3개의 세션, 백두산 화산 재해·인도주의적 대응책 및 해결방안·청중과의 대화 순으로 진행됐다.

세션 1에서는 이윤수 포항공대 교수, 부산대 윤효성, 교수, 서울대 이현우 교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강현 박사가 백두산 화산 재해에 대한 분야별 연구 현황을 공유했다.

포항공대 이윤수 교수와 경상대 손영광 교수는 '백두산은 우리의 미래다'의 발표를 통해 백두산 화산 재해의 과학적 연구방안과 실제적인 남북 국제공동협력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부산대 윤효성 교수는 백두산 화산분화에 따른 주변 지역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에 대해 예상 시나리오에 근거한 수치모의 실험 연구 수행 결과를 발표해 화산 재해 대책 수립 마련과 이를 위한 남북공동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또 서울대 이현우 교수는 백두산 화산분화 시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없는 화산가스의 위험성과 관련된 백두산 천지 내의 이산화탄소 측정 및 분석의 체계적 연구 필요성을 공론화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강현 박사는 체계적인 화산 감시망 구축이 2004년에 다시 분화한 세인트헬렌스 화산의 정확한 예측과 효과적인 경고를 이끌어낸 사례를 비교 분석했다. 지 박사는 신뢰성 높은 백두산 화산 분화의 예측을 위해 남북공동연구가 선행된 화산 감시 시스템 구축 및 운영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참고로 1980년 5월 18일 미국 서북부 워싱턴주에서 123년 간 잠들어 있던 세인트헬렌스 화산이 폭발해 화산학자 데이빗 존스턴을 포함 57명이 사망했다. 당시 발생한 화쇄류가 596제곱킬로미터에 달하는 삼림을 황폐화시켰으며 약 3조원의 재산 피해가 있었다. 2004년 10월 1일 화산 폭발이 재발했다.

세션 2에서는 런던대 J. Hammond 교수와 김승환 포스텍 교수, 오창환 전북대 교수가 인도주의적 해결책 및 대응방안을 밝히고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런던대 J. Hammond 교수는 지난 2011년부터 영국, 미국, 중국 및 북한 과학자들과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추진한 백두산 화산의 지질학적(지진학, 지화학, 지질연대측정 등) 연구프로젝트 결과를 발표했다. 이를 통해 백두산의 미래 폭발에 대비한 효과적인 전략과 과학적 방법을 활용한 체계적인 모니터링의 필요성을 제안했다.

경북대 오창환 교수는 해외 주요 화산 폭발 사례를 소개하고 백두산 화산 분화가 발생했을 때 예측되는 심각한 경제적·사회적 피해와 인명 손실에 대해 설명했다. 오 교수는 유사시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국가 차원의 지속적인 지원 시스템 구축을 강조했다.

세션 3에서는 토론회 발표자와 참석자들이 세션 1과 2의 주요 내용에 대한 질의응답을 통해 백두산 화산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 나가야 될지에 대한 소통이 이뤄졌다.

이 토론회를 개최한 이상민 의원은 16일 "백두산 남북 과학기술 협력연구의 조속한 추진을 위해 국회와 정부 차원의 정책적 지원방안을 적극적으로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또 "남북관계를 통해 협력하고 중국과 공조해 백두산 문제 정책에 관심을 꾸준히 갖겠다"고 말했다.

김용숙 기자 news7703@dailiang.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