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철 의원 "청년구직활동 지원금 수혜자 중 14%가 구직활동 부실"
상태바
김동철 의원 "청년구직활동 지원금 수혜자 중 14%가 구직활동 부실"
  • 김용숙 기자
  • 승인 2019.09.03 16: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기주도 구직활동 지원 취지 무색... 도덕적 해이 심각
최근 3개월 간 지원금 수령자 3만79명 중 4233명이 부실
구직활동과 연관성 없는 단순 물품·서비스 구입 '빈번'
고용부, 집행율 제고 위해 8월부터 수급요건 대폭 완화
제도개선 시급... "정책성과 극대화 방안 빨리 마련해야"
국회 환경노동위 바른미래당 김동철 의원은 3일 청년구직활동 지원금이 부실하게 쓰이고 있다며 제도개선을 촉구했다.copyright 데일리중앙
국회 환경노동위 바른미래당 김동철 의원은 3일 청년구직활동 지원금이 부실하게 쓰이고 있다며 제도개선을 촉구했다.
ⓒ 데일리중앙

[데일리중앙 김용숙 기자] 미취업 청년이 구직활동 계획을 자기주도적으로 수립하고 이행하는 데 드는 비용을 지원하고자 마련된 청년구직활동 지원금이 구직활동과 관련 없이 사용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바른미래당 김동철 의원이 3일 고용노동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3개월 간 청년구직활동 지원금 수령자 3만79명 중 4233명(14%)이 구직활동 내용이 부실하거나 지원금 사용에서 구직활동 관련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직활동을 부실하게 처리한 대표적 유형을 보면 ▷지원금 수령 이전에 사용한 영수증을 구직활동 증빙 내역이라고 제출하거나 ▷단순 여가활동이나 문화생활이 구직활동으로 둔갑되고 ▷구직활동과의 소명이 부족한 물품 구입 및 서비스 이용(태블릿PC‧아이패드, 닌텐도, 부모님 효도, 전동 킥보드, 성형 수술 등) 사례와 ▷휴대폰 소액결제 이후 통신비 납부 등 '일탈 전시장'을 방불케 했다.

또한 취업과 연관되지 않은 직업을 희망했음에도 정상적 구직활동이라고 보고한 경우(체력과  무관한 직업에 PT샵 이용을 구직활동이라고 보고하거나, 애견 관련 직종과 관련이 없음에도 애견 물품을 60만원 이상 구입하는 등의 사례)도 있었다.

이러한 불법적 지원금 수령이 가능한 이유는 청년 구직활동 참여자가 30만원 이상의 사용내역만 고용부에 신고하고 매월 한 가지 활동만 보고하면 지원금을 지급받을 수 있다는 점을 악용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구직활동이 전혀 이뤄지지 않고 지원금이 목적 외로 사용된다 하더라도 별도의 환수절차 없이 최악의 경우 지원금 중단에만 그치기 때문에 제도의 효과는커녕 참여자의 도덕적 해이만 불러온다는 지적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고용부는 8월부터 우선순위를 고려하지 않고 자격요건만 충족할 경우 모든 청년에게 구직활동 지원금을 지급하고 있어 논란을 더 키우고 있다. 

애초 고용부는 회차 별로 지원요건을 충족한 청년이 목표 인원보다 많을 경우 지원의 적절성과 공정성을 기하기 위해 ①졸업 후 기간 ②중앙·지방 정부 유사사업 참여 이력(실업급여 등)을 기준으로 우선순위를 9순위까지 설정해 심사해 왔다.

그런데 첫 달 폭발적인 신청(4만8000명)에도 선정 인원(매월 1만명 안팎)이 제한되자 상반기에 탈락한 청년들이 등을 돌렸고 예산이 남아돌게 되자 '자격요건만 갖추면 지원하겠다'는 입장으로 급작스레 돌아선 것이다.

김동철 의원은 "정부의 부실한 제도설계로 인해 청년구직활동 지원금 제도가 악용되는 사례를 발본색원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정부 지원금을 목적 외로 사용할 경우 경고 부여 횟수를 단축하고 부당 지원금의 환수방안을 마련하며 직·간접 구직활동의 범위를 보다 명확히 함으로써 정책성과를 극대화할 방안을 시급히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용숙 기자 news7703@dailiang.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