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공사, 10년간 판교 12배 규모인 1370만평 공동주택용지 팔았다
상태바
LH공사, 10년간 판교 12배 규모인 1370만평 공동주택용지 팔았다
  • 김영민 기자
  • 승인 2020.02.21 11: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민의 사유재산을 강제수용해 조성한 공공택지가 LH공사의 땅장사에 사용되고 있다?
공기업, 개발업자, 소수 분양자가 개발이익 나눠먹는 신도시 방식 중단해야
정동영 "정부여당은 반복된 정책 실패 중단하고 적극적으로 집값 정상화에 나서라"
연도병 공공택지용지 매각 현황( 면적 기준, 단위: 만평, 저료=LH공사)  copyright 데일리중앙
연도병 공공택지용지 매각 현황( 면적 기준, 단위: 만평, 저료=LH공사)
ⓒ 데일리중앙

[데일리중앙 김영민 기자] 지난 10년 간 한국토지주택공사(LH공사)가 매각한 아파트용지가 1370만평으로 판교신도시(전체 280만평 유상면적 111만평)의 12배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적률 200%를 적용할 시 25평 아파트 110만채를 공급할 수 있는 규모다. 

총 매각 금액은 74조8000억원으로 평당 550만원 수준이다. 

국민의 사유재산을 강제수용해 조성한 공공택지가 LH공사의 땅장사에 사용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공공택지가 애초 신도시 조성 목적인 주거 안정보다는 투기를 유발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민주평화당은 '총선 1호 공약' 20평 1억원 아파트 100만호 공급 정책을 발표하며 공공택지 민간매각을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정동영 민주평화당 대표는 21일 "10년 간 100만호, 연 10만호를 공급에 필요한 택지는 연 100만평인데 LH공사의 공공택지 민간매각만 중단해도 충분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어 "국민들의 사유재산을 강제 수용해 조성한 공공택지를 주거안정의 목적이 아닌 국가공기업의 땅장사와 건설사와 최초 분양자 등 소수의 배 불리기에 이용하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국민 모두의 주거 안정과 공공의 자산 확대로 이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정 대표는 전날 발표된 19번째 부동산대책에 대해서도 "근본적인 주거안정책이 아닌 핀셋대책으로는 집값을 안정시킬수 없다"며 정부의 정책 전환을 촉구했다.

LH공사가 정동영 대표에게 제출한 연간 토지판매명세서를 집계한 결과, 분양아파트, 복합분양아파트, 분양연립주택, 주상복합주택, 임대아파트 등 아파트를 공급할 수 있는 토지의 매각 면적이 2010년부터 2019년까지 1370만평으로 연 140만평 수준이었다.

2010년도에는 58만평에 불과했으나 이후 급증해 2014년에는 230만평으로 최고점을 찍었다. 

이후 점차 감소했으나 문재인 정부에서도 여전히 연 100만평 수준의 공동주택 용지가 매각되고 있다. 전반적으로 대규모 택지 조성이 줄면서 매각 물량이 줄고 있으나 문재인 정부에서는 박근혜 정부 당시 최고점을 찍고 하락하던 수도권 공동주택 용지 매각물량은 다시 늘고 있다. 

수도권 공동택지 매각량은 2014년 122만평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해 2018년 54만평으로 줄었으나 지난해 66만평으로 다시 증가했다. 

이에 반해 비수도권의 경우 2014년 108만평에서 2019년 29만평으로 1/4 수준으로 감소했다.

3기 신도시 공급이 본격화될 경우 수도권 공동주택용지 매각은 대폭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가 토지를 민간건설사에 매각하는 기존 신도시 방식의 개선없이 대규모 공급만을 외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2014년과 2015년의 경우 화성동탄2, 김포한강, 시흥 등 2기 신도시 물량이 상당부분을 차지했다.

이처럼 공공택지가 상당부분 매각되면서 공공택지 조성 목적인 싼 주택이 공급되거나 공공의 자산이 늘기보다는 공기업의 땅장사와 건설사의 집장사가 이뤄졌다. 

경실련 분석에 따르면 공공택지 민간매각으로 인해 위례신도시에서만 23조원의 개발이익이 사유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2009년 토지보상이 시작된 뒤 현재까지 총 205만평이 개발된 위례신도시는 공원, 도로 등 공공부지를 제외한 전체 개발대상 공공택지 107만평 중 72만평이 민간에 매각됐다.

정동영 민주평화당 대표는 21일 국민의 사유재산을 강제수용해 조성한 공공택지가 LH공사의 땅장사에 사용되고 있다며 정부의 정책 전환을 촉구했다.  copyright 데일리중앙
정동영 민주평화당 대표는 21일 국민의 사유재산을 강제수용해 조성한 공공택지가 LH공사의 땅장사에 사용되고 있다며 정부의 정책 전환을 촉구했다.
ⓒ 데일리중앙

정동영 대표는 "과거 신도시는 주거안정보다는 공기업과 개발업자가 가장 많은 이익을 가져가고 소수의 분양당첨자들에게 이익을 사유화하다 보니 투기판으로 변질됐다"며 "더 이상 이러한 정책으로는 정부가 목표로 하고 있는 주거안정은 머나먼 이야기"라고 지적했다. 

토지는 공공이 보유하고 건물만 분양하는 방식을 통해 주택 공급가격을 대폭 낮추고 개발이익을 공공(국민전체)이 누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민주평화당이 1호 공약을 발표하며 제시한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위례신도시의 경우 25평 아파트 기준 건물분양가 1억5000만원, 월 토지 임대료 52만원에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변매매 시세는 6억9000만원, 전세가격만해도 평당 1700만원 25평 기준 4억2000만원 수준이다.

정 대표는 "저렴한 공공주택이 지속적으로 공급될 경우 부동산 거품을 뺄 수 있다"며 "공공택지를 부당이득과 투기조장에 사용하는 신도시 개발 방식의 전면적인 개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 대표는 택지개발촉진법, 공공주택법 등 '공공택지 민간매각 금지' 법안 제출, 공공택지 매각은 국민연금 등 공적기금 등과 공공기관에만 제한적 허용하는 법안을 발의할 계획이다

정 대표는 전날 발표된 문재인 정부의 19번째 부동산 정책에 대해 "근본적인 집값 안정책이 아닌 최근 집값이 상승한 지역만을 대상으로 하는 핀셋 정책"이라고 비판했다.

실제 문재인 정부 이래로 핀셋 정책이 유효하지 않음이 수년간 증명됐다는 얘기다. 조정지역으로 지정하는 곳은 단기간은 주춤할지 몰라도 결국 집값이 상승하는 지역이라고 인정하는 '정부공인 투기유망지역'이 아니냐는 비아냥마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그럼에도 정부가 정책 기조를 바꾸지 못하는 것은 결국 집값 안정 의지가 부족한 것이라는 지적이다. 

정동영 대표는 "현 정부 출범 이후 발생한 집값 폭등으로 청년들은 내집 마련을 포기하고 있으며 일부 청년들은 더 늦기전에 무리하게 내집 마련에 나서거나 투기에 뛰어들고 있다"며 "이것이 정부가 외쳐왔던 소득주도성장의 결말인가"라고 반문했다. 결국 정부는 '불로소득주도성장'을 원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라고 꼬집었다.

집값을 낮추기 위해서는 혁신적인 정책이 필요해 보인다. 

정 대표는 정부와 여당은 반복된 정책 실패를 더 이상 중단하고 적극적으로 집값 정상화 정책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김영민 기자 kymin@dailiang.co.kr

묶음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