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회 반민특위, '일본어 잔재' 청산 나선다
상태바
서울시의회 반민특위, '일본어 잔재' 청산 나선다
  • 이성훈 기자
  • 승인 2020.10.08 11: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홍성룡 반민특위 위원장 "일본어 잔재는 일제의 민족말살정책에 의해 강제로 유입된 것"
진정한 친일반민족행위 청산은 무의식중에 사용하는 '일본어 잔재' 청산부터 시작해야
짬뽕→초마년, 우동→가락국수, 가라→가짜, 기스→흠, 사라→접시, 망년회→송년회
익일→다음날, 가불→선지급, 모찌→찹쌀떡, 유도리→융통성, 만땅→가득으로 순화해야
서울시의회 친일반민족행위청산 특별위원회(왼쪽부터 박순규·송아량·봉양순·김정태·박기열·홍성룡·최정순·이광호·최웅식·유용·양민규 위원)는  574돌 한글날을 하루 앞둔 8일 '일본어 잔재' 청산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홍성룡 반민특위 위원장은 "일본어 잔재는 일제의 민족말살정책에 의해 강제로 유입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사진=서울시의회) copyright 데일리중앙
서울시의회 친일반민족행위청산 특별위원회(왼쪽부터 박순규·송아량·봉양순·김정태·박기열·홍성룡·최정순·이광호·최웅식·유용·양민규 위원)는 574돌 한글날을 하루 앞둔 8일 '일본어 잔재' 청산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홍성룡 반민특위 위원장은 "일본어 잔재는 일제의 민족말살정책에 의해 강제로 유입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사진=서울시의회)
ⓒ 데일리중앙

[데일리중앙 이성훈 기자] 서울시의회 친일반민족행위청산 특별위원회(반민특위)가 우리사회에 깊숙히 똬리를 틀고 있는 일본어 잔재 청산에 나선다.

서울시의회 반민특위는 574돌 한글날을 하루 앞둔 8일 "진정한 친일반민족행위 청산은 무의식중에 사용하고 있는 '일본어 잔재' 청산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밝혔다.

홍성룡 서울시의회 반민특위 위원장은 "일본어 잔재는 한·일간의 자연스러운 언어 접촉 과정에서 우리말에 유입된 것이 아니라 일제에 의한 이른바 민족말살정책에 의해 강제로 유입된 것"이라고 '일본어 잔재' 청산 당위성을 역설했다.

홍 위원장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제로부터 해방된 지 75년이나 지난 현재까지도 일본어 잔재가 우리 삶과 생활 속에 깊숙이 파고들어 있는 안타까운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시의회 반민특위는 일본어 잔재의 대표적인 유형으로 '순 일본어' '일본식 한자어' '일본어 음차어'를 꼽았다. 

홍 위원장은 "일상생활에서 흔히 쓰는 순 일본어로는 짬뽕, 우동, 가라, 기스, 사라 등이 있다. 이는 초마면, 가락국수, 가짜, 흠, 접시로 순화해서 사용해야 한다. 일본식 한자어로는 망년회, 익일, 가불 등이 있는데 이는 송년회, 다음 날, 선지급으로, 일본어 음차어인 모찌, 유도리, 만땅, 뽀록나다 등은 찹쌀떡, 융통성, 가득(차다/채우다), 들통나다로 각각 사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밖에 일본어 투 용어(괄호안은 우리말)로는 나리비(줄서기), 노가다(막노동), 가오(체면), 나가리(유찰), 시다바리(보조원), 우와기(윗도리), 견습(수습), 모포(담요), 고수부지(둔치), 구좌(계좌), 대절(전세), 고참(선임), 다반사(예삿일), 수취인(받는 이), 구보(달리기), 기라성(빛나는 별), 수순(차례), 십팔번(단골 노래), 나가리(무산), 나와바리(구역), 단도리(채비), 쇼부(결판), 와사비(고추냉이), 무데뽀(막무가내), 이빠이(가득), 곤조(고집/근성), 분빠이하다(각자 내기하다), 대빵(대장), 비까번쩍하다(번쩍번쩍하다), 나시(민소매), 삑사리(헛발질/음이탈) 등이 있다.

홍 위원장은 특히 "건설 분야나 당구 등과 같은 특정 전문 분야에서 노가다(→(공사판)노동자), 함바(→현장식당), 와쿠(→틀), 겐세이(→견제), 시네루(→회전), 다이(→당구대) 등 충분히 사용가능한 우리말 표현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어 투 용어가 무분별하게 사용되고 있어 개선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또 "인사동, 송도, 욱천, 원남동, 관수동 등과 같은 지명도 일제가 우리의 얼과 민족성을 말살하기 위해 일본식으로 바꾸거나 자기들 멋대로 이름을 붙인 것"이라면서 "지명 변경에 따른 혼선과 막대한 예산이 든다는 핑계와 무관심 속에 방치되고 있는 이러한 일본식 지명들도 홍보와 공론화 과정을 거쳐 반드시 우리 고유 이름으로 되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뿐만 아니라 일본어 잔재는 우리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큰 공공기관에서 사용하는 행정용어에도 뿌리를 깊숙히 내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례로 몽리자(→수혜자), 사력(→자갈), 계리(→회계처리), 관창(→노즐) 등과 같은 일본어 잔재가 아직 많이 남아 있다.

일상생활에서 우리가 꼭 가려 써야 할 일본어 투 용어. (자료=서울시의회 반민특위)copyright 데일리중앙
일상생활에서 우리가 꼭 가려 써야 할 일본어 투 용어. (자료=서울시의회 반민특위)
ⓒ 데일리중앙

일본어 투 용어는 이처럼 일반 국민이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국민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도 일제 잔재인 일본어 투 용어는 반드시 청산하고 우리말로 순화시켜야 할 것으로 보인다. 

홍 위원장은 "우리는 광복 직후부터 꾸준히 국어 순화 정책을 대대적으로 실시해 상당수 일본어 잔재를 정리했지만 여전히 비공식적인 자리나 특정 분야에서 일본어 투 용어가 버젓이 쓰이고 있는 이유는 정부나 자치단체, 국민들이 유난히 삼일절, 광복절, 한글날 등과 같은 기념일의 10년 단위가 되는 해에만 관심을 두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홍 위원장은 "매번 정부와 자치단체의 의지 부족과 국민들의 무관심만을 탓할 것이 아니라 조례 제정 등 법적·제도적 장치를 마련해 적어도 행정용어에서 만큼은 일본어 잔재가 발붙이지 못하도록 서울시의회 반민특위가 앞장서 나가겠다"고 약속했다.

한편 서울시의회 반민특위는 우리사회 곳곳에 깊숙이 파고들어 있는 친일반민족행위와 일본어 잔재, 일제를 상징하는 조형물 등 일제 잔재를 청산해 민족정기를 바로 세우고자 지난달 15일 출범했다.

이성훈 기자 hoonls@dailiang.co.kr

묶음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