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박정희가 바꾼 '근로자의 날'을 '노동절'로 되찾는 입법 추진
상태바
민주당, 박정희가 바꾼 '근로자의 날'을 '노동절'로 되찾는 입법 추진
  • 석희열 기자
  • 승인 2021.02.09 12: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5월 1일을 노동절 대신 '근로자의 날'로 부르는 나라는 전 세계에서 대한민국밖에 없어
"근로 단어는 일제 강점기 '근로보국대' '근로정신대'와 맥을 같이해... 청산해야 할 잔재"
이승만이 3월 10일로 변경하고 박정희가 '근로자의 날'로 바꿔... 문민정부애서 5월 1일 회복
민주당 "이제는 잃어버린 '노동절'을 온전히 되찾을 때"... 2월 임시국회에서 법 개정 추진
민주당 전국노동위원회와 박홍배 노동 최고위원, 노동존중실천단, 국회 환노위 소속 이수진(비례)·안호영 의원은 9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5월 1일 노동절을 '근로자의 날'에서 '노동절'로 되찾는 입법을 2월 임시국회에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데일리중앙
민주당 전국노동위원회와 박홍배 노동 최고위원, 노동존중실천단, 국회 환노위 소속 이수진(비례)·안호영 의원은 9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5월 1일 노동절을 '근로자의 날'에서 '노동절'로 되찾는 입법을 2월 임시국회에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 데일리중앙

[데일리중앙 석희열 기자] 민주당이 박정희 군사정권 시절부터 사용돼온 '근로자의 날'을 본래 이름인 '노동절'로 바꾸는 입법을 추진한다.

사실 5월 1일(메이데이, May day)을 '노동절'이 아니라 '근로자의 날'로 부르는 나라는 전 세계에서 대한민국밖에 없다.

민주당 전국노동위원회, 노동존중실천단, 국회 환노위 소속 이수진(비례)·안호영 의원은 9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노동절 명칭회복 입법'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2월 임시국회에서 '근로자의 날'을 '노동절'로 회복하기 위한 입법 활동을 적극 펼치겠다는 것이다. 

노동존중실천단 총괄 간사를 맡고 있는 안호영 의원은 "노동존중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입법 활동의 하나로 이번 2월 임시국회에서 '근로자의 날'을 '노동절'로 회복하기 위한 입법 활동에 나섰다"고 밝혔다.

해마다 5월 1일은 전 세계 노동자들이 1886년 하루 8시간 노동을 요구하며 투쟁하고 폭력에 저항했던 미국 노동자들의 대투쟁을 기억하고 기념하는 '노동절'이다. 

우리나라에서도 해마다 5월 1일에는 민주노총과 한국노총 주최로 대규모 노동절 집회가 열리고 있다. 집회 참석 노동자들은 스스로 단결해 정부와 사용자 쪽을 향해 노동권 보장을 외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노동계를 제외한 대부분의 계층에서는 '노동절'이라는 원래 이름 대신 '근로자의 날'이라고 부르고 있다. 

근로라는 용어는 노동 대신 일제 강점기 시절부터 사용된 말로 청산해야 할 일제 잔재다. 일제가 한국인의 노동력을 수탈하고 착취하기 위해 만들었던 '근로보국대'나 '근로정신대'에서 사용했던 단어와 맥을 같이 한다. 

또한 '부지런함'을 강조하는 '근로'라는 말은 권력과 기업에 종속된 의미로 사용돼 노동절의 본래 정신에 어긋난다는 지적이 노동계와 학계에서 꾸준히 이어져 왔다.

반면 노동자는 생활을 위해 육체적 또는 정신적 노력을 들이는 행위, 즉 노동을 제공하고 정당한 임금을 받는 사람을 말한다. 따라서 노동과 근로, 두 단어의 가장 큰 차이는 자율성과 주체성의 유무다.

우리가 처음부터 '노동절'을 빼앗겼던 것은 아니다.

노동단체의 이데올로기적 차이를 떠나 해방 이전부터 지켜왔던 노동절은 우리 근대사의 흐름에 따라 날짜와 이름이 바뀌는 운명을 걸었다.

이승만 자유당 시절인 1957년 5월 1일 노동절이 3월 10일로 변경됐다. 그 후 '노동절'이라는 이름마저 1963년 박정희 군부정권에선 '근로자의 날'로 바꿨다.

그러던 것이 우리나라 첫 문민정부인 김영삼 정부가 1994년 법 개정을 통해 3월 10일 대신 '5월 1일'이라는 날짜를 되찾았다. '노동절'이라는 이름 회복은 숙제로 남겨 뒀다.

민주당은 이제는 잃어버린 '노동절'을 온전히 되찾을 때라고 강조했다. 날짜 뿐만 아니라 명칭까지 회복해야 한다는 것이다. '5월 1일 노동절'.

지난해 6월 '근로자의 날'을 '노동절'로 되돌리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근로자의 날 제정에 관한 법률 전부개정안'을 발의한 이수진 의원(비례)은 "이제는 노동자에게 '근로자의 날'이 아니라 '노동자의 날' '노동절'이라는 이름을 되찾아줘야 하는 시점"이라며 "올해 5월 1일 만큼은 '근로자의 날'이 아닌 '노동절'이라는 이름으로 함께 축복하는 시간이 됐으면 하고 바란다"고 밝혔다.

박홍배 노동부문 최고위원은 "전 세계에서 노동절을 '근로자의 날'로 부르는 곳은 대한민국밖에 없다"고 말했다.

끝으로 기자회견 참석자들은 기자회견문을 통해 '근로자의 날'에서 '노동절'로 명칭을 되찾아야 하는 당위성을 역설했다.

박해철 전국노동위원회 위원장은 "메이 데이는 더이상 근로자의 날이 아닌 노동절"이라고 선언했다.

박 위원장은 "노동을 기억하고 노동자의 투쟁을 기념하기 위한 본래 뜻과는 달리 시대적 상황에 따라 변해야 했던 노동절의 역사를 반드시 바로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주당은 2월 임시국회에서 '근로자의 날'을 '노동절'로 바꾸는 입법을 추진할 계획이다. 

석희열 기자 shyeol@dailiang.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