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당선인 대통령 집무실 이전 공식화, 청와대 70여년 역사 저물어
상태바
윤석열 당선인 대통령 집무실 이전 공식화, 청와대 70여년 역사 저물어
  • 송정은 기자
  • 승인 2022.03.21 07: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대통령 집무실과기존 청와대 비서실의 기능을 용산 국방부 청사로 이전하는 방침을 공식화했다.

이에 대한민국 근현대사와 함께해온 청와대 70년 역사도 윤석열 정부 출범과 함께 과거로 사라지게 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국가기록원에 따르면 '푸른 기와 지붕'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는 청와대는 조선 태조가 지금의 청와대 자리를 경복궁의 후원으로 사용하던 것에 그 기원이 있다.

이후 연무장, 과거시험장 등이 들어서며 '경무대'라 불렸으나 1592년 임진왜란 때 경복궁과 함께 폐허가 됐고, 고종 때 복원됐다. 일제강점기 시절에는 조선총독부 관저로 사용되기도 했다.

광복 후에는 주한미군사령관 하지 중장이 총독 관저를 사용했다.

1948년 8월 대한민국 정부수립과 함께 이승만 전 대통령이 기존 이화장에서 대통령 관저를 현재의 위치로 옮기면서 '경무대'라는 이름을 붙였다.

4·19 혁명에 따른 윤보선 2대 대통령은 전임자의 독재 이미지를 지우는 일환으로 개명을 추진하면서 1961년 1월1일부로 현재 '청와대'라는 명칭을 공식적으로 처음 사용했다.

이후 박정희·최규하·전두환·노태우·김영삼·김대중·노무현·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을 비롯해 현재 문재인 대통령까지 10명의 대통령이 현재 청와대를 지키며 자리매김 해왔다.

청와대는 73년이라는 근현대사 과정 중 굴곡진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

박정희 전 대통령 집권 시기인 1968년 1월21일 김신조 등 북한 무장대원 31명이 청와대 뒷산으로 침투, 박 전 대통령 암살을 시도했던 '1·21 사태' 때가  그 것 이다. 

1·21 사태 후 매년 4~5월 박 전 대통령이 주재해오던 청와대 경내 개방 행사가 중단됐다.

청와대 뒤편 북악산 길 및 청와대 인근 지역도 전면 통제의 길로 들어섰다.

청와대 경내에서 벌어진 일은 아니지만 1979년 10월26일 박 전 대통령이 청와대 인근 궁정동 안가에서 당시 김재규 중앙정보부장의 총탄에 숨진 사건도 회자된다.

김영삼 전 대통령의 문민정부 시절 궁정동 안가는 헐리고, 그 자리에 무궁화동산이 조성됐다.

송정은 기자 blue1004sje@dailiang.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