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카카오톡 독점적 지위 이용 천문학적 수익... 사회공헌활동은?
상태바
카카오, 카카오톡 독점적 지위 이용 천문학적 수익... 사회공헌활동은?
  • 석희열 기자
  • 승인 2022.10.21 12: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카카오톡 이용 광고업체 9015개... 광고수입 1년6개월 간 2조5580억원
"소비자 묶는 '잠금 효과'로 광고사업 확대를 통한 수익 극대화만 치중"
강민국 의원 "자본 앞세운 무분별한 사업 확장 제재하는 것이 필요하다"
카카오가 카카오톡의 독점적 지위를 이용해 천문학적 광고 수입을 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copyright 데일리중앙
카카오가 카카오톡의 독점적 지위를 이용해 천문학적 광고 수입을 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데일리중앙

[데일리중앙 석희열 기자] 카카오가 카카오톡의 독점적 지위를 이용해 연간 1조원이 넘는 천문학적 수익을 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카카오가 사회 공헌활동에는 소홀하다는 지적이다. 

국민들에게 혼란과 막대한 피해를 입혔던 최근 '카카오 먹통' 대란의 주요 원인은 카카오가 문어발식 확장과 수익 창출에만 열을 올린 채 정작 인프라 안전성 점검과 투자는 뒷전이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많다.

국회 정무위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은 21일 "메신저업계 카카오톡의 압도적 점유율을 기반으로 한 광고 수익 극대화에 집중한 결과 현재 카카오톡을 이용 중인 광고주 수가 9000개 이상이며, 그 수익 규모는 조 단위를 넘어선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강민국 의원실에서 공정거래위원회에 자료요청을 통해 받은 답변자료인 '카카오, 카카오 '톡비즈' 매출 현황'을 살펴보면 10월 현재 카카오톡 채팅창 등을 이용해 광고를 진행 중인 광고주는 9015개사에 이르는 걸로 확인됐다.

카카오 '톡비즈'란 광고형(비즈보드, 카카오톡채널, 이모티콘 등), 거래형(선물하기 등 커머스) 등 카카오톡 서비스를 기반으로 광고주 목적에 따라 다양한 소재를 노출하거나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광고형 상품을 말한다.

2022년 기준 카카오톡 비즈보드 광고업체 현황을 광고업종별로 살펴보면 서비스 업종이 352개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식음료 286개, 패션 262개, 리빙 166개, 화장품 156개 등의 순이다. 기타 미분류 7147개. 서비스 주요 광고주는 넷플릭스, 야놀자, 우아한형제들, 스터디맥스 등이다.

주목할 부분은 카카오가 카카오톡 채팅창 등을 이용하는 광고주를 업종별로 분류한 개수가 12개인데도 정작 12개 업종 광고주 수는 1868개(20.7%)에 불과하다. 반면 기타 미분류 업종 광고주 수가 7147개(79.3%)나 된다. 

이는 국내 대기업, 중소기업, 개인사업자 할 것 없이 거의 모든 업종의 광고를 카카오톡이 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주는 대목이다.

카카오톡 채탕창 등을 이용하는 압도적 숫자의 광고주에 비례해 광고를 통해 카카오가 벌어들인 수익 역시 천문학적 수준이었다.

2021년 카카오가 카카오톡 광고상품인 '톡비즈'를 통해 벌어들인 매출액은 1조6439억원에 이르며 2022년 1,2분기까지의 매출액만도 9141억원으로 전년도 매출액을 월등히 웃돌 걸로 전망된다.

카카오톡은 출시 초기에는 광고 및 유료화는 없다는 입장이었다. 그러나 최근 기업 성장을 위한 카드로 광고 사업 확대를 발표(2022.8.4)해 앞으로도 카카오는 수많은 계열사와 독점적 지위를 가진 카카오톡을 이용해 광고 수익에 열을 올릴 걸로 보인다.

국회 정무위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은 21일 카카오가 카카오톡의 독점적 지위를 이용해 천문학적 광고 수입을 올리고 있다며 "자본을 앞세운 무분별한 사업 확장을 제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copyright 데일리중앙
국회 정무위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은 21일 카카오가 카카오톡의 독점적 지위를 이용해 수익 극대화에만 치중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자본을 앞세운 무분별한 사업 확장을 제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데일리중앙

강민국 의원은 "카카오는 카카오톡의 압도적 점유율을 기반으로 소비자를 묶는 소위 '잠금 효과'로 인해 카카오톡 이용자가 대안을 찾기 어렵다는 점을 이용하여 광고 사업 확대를 통한 수익 극대화만 치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강 의원은 "공정거래위원회 중심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협의해 플랫폼 기업에 특화된 기업결합 심사기준을 마련하여 자본을 앞세운 무분별한 사업 확장을 제재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대책 마련을 주문했다.

석희열 기자 shyeol@dailiang.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