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정민 의원 "다양한 분야 초기스타트업에 중기부가 기회 줘야 할 것"

ⓒ 데일리중앙
[데일리중앙 석희열 기자] 중소기업벤처부가 최근 5년간 창업기업과의 계약은 1%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기부 스스로 제시한 목표치 8%에도 한참 못 미치는 것으로 창업기업과의 계약을 늘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민주당 홍정민 국회의원이 10일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중기부가 최근 5년간 용역·공사 등의 계약을 체결한 현황 자료를 받아 분석한 결과 창업기업과 계약한 것은 1% 수준에 불과한 걸로 확인됐다.
홍정민 의원은 지난해 국정감사 때에도 공공기관의 창업기업제품 구매가 저조하다는 사실을 지적하며 제도개선을 요구했다.
정부는 2020년 10월 '창업기업제품 공공기관 우선구매제도'를 도입했고 이에 따라 공공기관은 창업기업제품 구매목표율을 8%로 설정해야 한다. 하지만 공공기관 849곳의 총 구매액(제품, 용역 모두 포함) 154조원 중 창업기업제품 구매액은 1.8에 불과했다.
홍정민 의원은 이번에 중기부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통해 용역·공사 등 계약 체결 현황에 대해 자세하게 살펴뵜다.
중기부가 최근 5년(2018~2022년)간 외부기관과 체결한 총 1010억원의 계약 중 창업기업과 계약한 것은 4억9000만원(0.49%) 규모에 그쳤다. 계약건수로 봐도 전체 487건 가운데 창업기업과 계약한 것은 15건(3.08%)에 불과했다.
2020년 10월 도입돼 2021년부터 시행된 점을 고려해 2021년과 2022년으로 한정해 살펴보더라도 결과는 크게 다르지 않았다.
중기부가 최근 2년(2021~2022년)간 외부기관과 체결한 총 396억원의 계약 중 창업기업과 체결한 계약은 4억3000만원(1.09%)에 불과했다. 계약건수로 봐도 232건 중 창업기업과 체결한 계약은 13건 (5.6%)에 그쳤다.
단순히 양적 계약 체결이 부족한 것 뿐만 아니라 질적 개선도 필요한 상황이다. 창업기업과 계약체결 내용을 살펴보면 홍보영상 제작, 달력제작 등 홍보 분야에 치중됐다. 핀테크 등 다양한 분야의 스타트업을 육성한다는 차원에서 계약분야 역시 다각화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홍정민 의원은 "창업기업우선구매제도는 초기창업기업들의 판로를 개척하고 기업을 외부에 알릴 기회가 될 뿐 아니라 초기단계 창업기업들이 시장에 안정적으로 안착할 수 있게 돕는 역할을 한다"며 "제품뿐만 아니라 용역계약도 창업기업과 계약비율을 늘려야 한다"고 중기부에 주문했다.
홍 의원은 "창업기업의 경쟁력 강화 책임이 있는 중기부는 최소한 스스로 제시한 목표치(8%)를 달성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석희열 기자 shyeol@daili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