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기간 '일회용 플라스틱 폐기물', 역대 최대 규모로 증가
상태바
코로나 기간 '일회용 플라스틱 폐기물', 역대 최대 규모로 증가
  • 송정은 기자
  • 승인 2023.03.22 11: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그린피스, 22일 '플라스틱 대한민국 2.0 보고서' 펴내
코로나 전후 플라스틱 폐기물 49.5% 이상 증가… 플라스틱 오염 문제 가속화
우리 국민 연간 56억개 생수 페트병 소비... 지구를 14바퀴 돌 수 있는 천문학적 양
플라스틱컵은 53억개 소비... 컵 높이를 11cm라면 지구에서 달 사이 거리의 1.5배
주요 일회용 플라스틱만 따져도 국민 1인당 연간 1300여 개 넘게 버려
2030년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량 연간 647만5000톤 발생, 2010년 대비 3.6배 증가
플라스틱 물질 재활용률 27% 불과… 국제 플라스틱 협약 제정해 강력대책 마련해야
코로나 기간 국내 '일회용 플라스틱 폐기물'이 사상 최대 규모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그린피스)copyright 데일리중앙
코로나 기간 국내 '일회용 플라스틱 폐기물'이 사상 최대 규모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그린피스)
ⓒ 데일리중앙

[데일리중앙 송정은 기자]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국내 일회용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량이 역대 최대 규모로 늘어났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코로나19 전후 플라스틱 폐기물이 49.5% 넘게 증가하고 플라스틱 오염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그린피스는 22일 이런 내용을 담은 <플라스틱 대한민국 2.0 보고서>를 발표했다.

그린피스와 충남대 환경공학과 장용철 교수 연구팀이 참여한 이 보고서는 2019년 발표했던 '플라스틱 대한민국, 일회용의 유혹'의  후속으로 펴냈다. 국내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 추이와 대표적인 일회용 플라스틱의 소비 발자국 그리고 향후 발생량 예측과 국제 사회의 동향 분석 등의 내용이 담겼다.

그린피스는 22일  국내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 추이와 대표적인 일회용 플라스틱의 소비 발자국 그리고 향후 발생량 예측과 국제 사회의 동향 등을 분석한 '플라스틱 대한민국 2.0 보고서'를 펴냈다. (자료=그린피스)copyright 데일리중앙
그린피스는 22일 국내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 추이와 대표적인 일회용 플라스틱의 소비 발자국 그리고 향후 발생량 예측과 국제 사회의 동향 등을 분석한 '플라스틱 대한민국 2.0 보고서'를 펴냈다. (자료=그린피스)
ⓒ 데일리중앙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21년에만 모두 1193만2000톤의 플라스틱 폐기물이 발생했다. 이는 2017년에 비해 무려 49.5%(395만1000톤)이 증가한 양이다.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생활(가정) 폐기물 중 플라스틱 쓰레기를 의미하는 폐합성수지류는 지속적으로 늘었다. 

특히 분리 배출되는 플라스틱 중 배달음식 포장재를 포함하는 '기타 폐합성수지류' 항목은 2019년 하루 715.5톤에서 2021년 하루 1292.2톤으로 무려 80.6%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의 1인당 연간 일회용 플라스틱 소비량은 모든 항목에서 2017년보다 늘어났다. 일회용 플라스틱 컵은 65개에서 102개로 56.9%, 생수 페트병은 96개에서 109개로 13.5%, 일회용 비닐봉투는 460개에서 533개로 15.9% 각각 증가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코로나19 이후 늘어난 배달문화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배달 용기 부문의 1인당 연간 소비량도 조사 항목에 포함됐다. 그 결과 2020년에 1인당 연간 568개의 일회용 플라스틱 배달 용기를 소비하고 있었다. 여기에 일회용 컵, 생수 페트병, 일회용 비닐봉투까지 더하면 연간 1312개로 무게로 환산하면 약 19kg에 이른다.

국내 인구 5184만명을 기준으로 할 때 국민이 한 해에 소비하는 일회용 플라스틱 양은 천문학적 수준이다. 생수 페트병의 경우 56억개로 병당 지름 10cm로 가정해 늘어 세우면 지구를 14바퀴 돌 수 있는 양이다. 플라스틱 컵은 53억 개로 컵 하나의 높이를 11cm로 가정하면 지구에서 달 사이 거리의 1.5배에 이른다. 비닐봉투는 276억개로 이들을 20L 종량제 봉투라고 가정하면 서울시를 13번 이상 덮을 수 있는 양이 된다.

자료=그린피스 copyright 데일리중앙
자료=그린피스
ⓒ 데일리중앙

이번 보고서는 종량제 봉투 배출 폐기물을 포함하는 생활계 폐기물의 2030년 발생량 전망 수치도 공개했다. 2010~2021년 발생량과 같은 추세로 증가가 지속될 경우 2030년 생활계 폐기물 중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량은 한 해 약 647만5000톤이 될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2010년에 비해 3.6배 증가한 수치다.

보고서는 일회용 플라스틱 재활용 실태도 분석했다. 2021년 전체 국내 전체 플라스틱의 물질 재활용률은 약 27%였으며 그중 일회용 플라스틱이 큰 부분을 차지하리라 추정되는 생활계 폐기물의 물질 재활용률은 약 16.4%에 불과했다. 2021년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이 2017년보다 49.5% 증가한 것을 고려하면 여전히 매우 낮은 수치다. 또한 생활계 플라스틱 폐기물 70% 이상은 단순 소각되거나 에너지 회수 고형연료 형태로 처리되면서 온실가스를 대기 환경으로 대량 배출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장용철 충남대 교수는 "한국은 유럽연합(EU), 캐나다 등 다른 나라들과 달리 '일회용 플라스틱'에 대한 법적 정의가 따로 없고 '일회용품' 안에서 포괄적으로 규제하고 있어서 일회용 플라스틱의 구체적인 감축 전략과 규제를 시행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장 교수는 이어 "한국은 일회용 플라스틱 구체적인 감축 전략 수립과 이행 방안, 목표 설정, 대체 제품 개발, 관련 통계 구축 등이 필요하다"면서 "일회용 플라스틱을 해결하려면 앞으로 정부 차원의 보다 강화된 생산 및 사용 금지, 소비 억제 등 법적 규제 강화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자료=그린피스 copyright 데일리중앙
자료=그린피스
ⓒ 데일리중앙

김나라 그린피스 플라스틱 캠페이너는 "이번 보고서는 한국이 플라스틱 오염에 대해 얼마나 안일하게 대처하고 있는지 보여준다"며 "정부와 기업 차원의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일회용 플라스틱 폐기물 문제의 심각성을 상기시켰다.

김 캠페이너는 "유엔이 추진하고 있는 국제 플라스틱 협약은 한국이 플라스틱 오염에서 벗어날 중요한 기회"라며 "한국 정부를 포함한 글로벌 리더들은 플라스틱 생산 및 사용량을 감축하고 재사용과 리필 기반 시스템 구축을 해결방안으로 하는 협약이 체결될 수 있도록 힘을 모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린피스는 아울러 앞으로 정부간 협상 위원회(INC) 회의에서 제기될 산업계의 간섭을 배제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유엔은 플라스틱으로 인한 오염을 막기 위한 첫 국제 협약을 2024년 말까지 만들기로 합의했다. 플라스틱 생산부터 폐기까지 모든 과정에 대한 법적 구속력을 갖는 규제안을 마련하는 것으로 환경 역사상 가장 강력한 국제 협약이 될 걸로 평가받고 있다.

송정은 기자 shyeol@dailiang.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