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세청 해킹시도 해마다 수천건씩 이뤄져... 5년간 2만건 육박
상태바
국세청 해킹시도 해마다 수천건씩 이뤄져... 5년간 2만건 육박
  • 석희열 기자
  • 승인 2023.09.13 11:31
  • 수정 2023.09.13 13: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영교 의원, 국세청 자료 분석 결과 올 들어서도 사이버 공격 1624건 이뤄져
"한번 뚫리면 걷잡을 수 없는 피해, 공격 한건 한건에 대한 정밀한 분석 필요"
사이버 공격에 철저한 대비 위해 해마다 납세정보 보호 위한 대책 강화해야
최근 5년간 국세청에 대한 해킹 시도 현황(단위: 건). 자료=행정안전부 국가정보자원관리원(광주센터) 제공copyright 데일리중앙
최근 5년간 국세청에 대한 해킹 시도 현황(단위: 건). 자료=행정안전부 국가정보자원관리원(광주센터) 제공
ⓒ 데일리중앙

[데일리중앙 석희열 기자] 국세청을 대상으로 한 해킹 시도가 해마다 수천건씩 이뤄지면서 최근 5년간 국세청에 대한 사이버 공격이 2만건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 들어서도 1~7월 1600건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국세청은 사이버 공격에 철저히 대비하기 위해 해마다 납세 정보 보호를 위한 대책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문이 국회에서 나왔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민주당 서영교 의원이 13일 국세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7월 국세청에 대한 사이버 공격은 총 1624건이 이뤄졌다.

올해 국세청 대상 사이버 공격 중 국외에서 이뤄진 공격은 962건으로 59.2%를 차지했다. 국내 공격은 662건 (40.8%)이다. 

공격 시도 유형을 보면 정보 유출을 목적으로 한 공격이 500건(30.8%)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시스템 권한 획득(412건, 25.4%), 정보수집(328건, 20.2%), 서비스 거부(160건, 9.9%), 홈페이지 변조(107건, 6.6%), 비인가 접근 시도(105건, 6.5%) 순이었다.

실제 국세청에 대한 해킹 시도는 해마다 수천 건씩 발생하고 있다. 2019년부터 올해 7월까지 국세청에 대한 사이버 공격은 모두 1만9081건으로 2만건에 육박한다. 

지난 2019년 2275건이었던 사이버 공격은 2020년 6106건으로 급증했다. 2021년과 2022년에는 각각 4849건, 4227건으로 줄었지만 여전히 연간 4000건대를 유지하고 있다.

다만 국세청은 외부 공격으로 과세 정보가 유출된 적은 없었다는 입장이다. 

국세청 관계자는 "내부 업무망과 홈택스 등 외부 인터넷망을 물리적으로 분리해 운영하고 있다"며 "PC 인터페이스를 통제해 비인가 저장매체도 차단하는 중"이라고 국회에 설명했다.

서영교 민주당 국회의원은 13일 "국세청 자료는 한번 뚫리면 걷잡을 수 없는 피해가 발생한다"며 대책을 강화할 것을 국세청에 주문했다.copyright 데일리중앙
서영교 민주당 국회의원은 13일 "국세청 자료는 한번 뚫리면 걷잡을 수 없는 피해가 발생한다"며 대책을 강화할 것을 국세청에 주문했다.
ⓒ 데일리중앙

서영교 의원은 "매년 수천건의 사이버 공격이 진행되는 만큼 국세청이 사이버 공격으로부터 안전하다고 보기는 어렵다"면서 "국세청은 납세 정보 보호를 위해 매년 대책을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 의원은 "국세청 자료는 한번 뚫리면 걷잡을 수 없는 피해가 발생한다"며 "지금까지 과세 정보가 유출된 적이 없다고 하더라도 방심은 금물이다. 지금까지 공격받은 한건 한건을 정밀하게 분석해 사이버 공격에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석희열 기자 shyeol@dailiang.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