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비위 끊이지 않는 외교부, 올해도 공관장 해임 처분
상태바
성비위 끊이지 않는 외교부, 올해도 공관장 해임 처분
  • 송정은 기자
  • 승인 2023.09.15 18: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외교부 성비위 사건의 88.2%가 재외공관에서 발생
지난해(성추행) 이어 올해(성희롱) 잇따라 공관장 성비위 해임
2020년에는 외교부 본부 공무원이 성폭력 저질러 해임되기도
이원욱 의원 "외교부는 강도 높은 쇄신책을 마련해야 할 것"
외교부 소속 공무원 성비위 징계 현황(2018~2023.9.14. 현재). (자료=외교부)copyright 데일리중앙
외교부 소속 공무원 성비위 징계 현황(2018~2023.9.14. 현재). (자료=외교부)
ⓒ 데일리중앙

[데일리중앙 송정은 기자] 외교부 재외공관 소속 고위직의 성비위 문제가 끊이지 않고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특임공관장이 성비위 사건으로 해임됐다.

또 지난 2020년에는 본부 공무원이 성폭력을 저질러 해임되기도 했다.

이처럼 외교부 성비위 사건이 끊이지 않고 있는 가운데 88.2%가 재외공관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국회 외통위 민주당 이원욱 의원이 15일 외교부에서 제출받은 '외교부 소속 공무원 성비위 징계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2년에 이어 2023년에도 성비위 사건으로 특임공관장이 해임된 걸로 드러났다.

2018년부터 2023년 9월 현재까지 외교부에서 발생한 성비위 사건은 모두 17건으로 88.2%(15건)가 재외공관 소속 공무원에 의해 저질러졌다. 

특히 2021년 이후 발생한 사건 5건은 모두 공관 소속 공무원이 저질렀으며 그 가운데 4건이 고위직(특임공관장, 고위외무)에 의해 발생했다.

성비위 사건에 대한 징계 처분 현황을 살펴보면 파면·해임 처분이 5건, 강등·정직 처분이 6건으로 중징계가 64.7%였다. 나머지 6건은 경징계에 해당하는 감봉 처분이 내려졌다.

이원욱 의원은 "공관장은 해외에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기관의 장인 만큼 실력은 물론 품격과 리더십을 두루 갖춰야 한다"며 "공관 고위직에 의한 성비위 문제가 끊이지 않는다면 공관 운영은 물론 공관이 온전한 기능을 할 수 없게 된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외교부는 공관의 높은 성비위 발생률과 고위직에 의한 성비위 문제가 끊이지 않는 원인을 철저히 분석하고 강도 높은 쇄신책을 마련해 국민 앞에 내놓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정은 기자 shyeol@dailiang.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