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지표가 보여주는 밀양경제 르네상스시대... 지역경제 활력
상태바
경제지표가 보여주는 밀양경제 르네상스시대... 지역경제 활력
  • 김영민 기자
  • 승인 2023.09.25 17: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용률(15~64세) 67.3%로 경남 시 지역 평균보다 높아
실업률 1.3%(전년 동기 대비 1.1%↓)로 도내 시부 최저
밀양 기업체 지난해 매출신고액 2017년 대비 2조4078억원 껑충
최근 6년간 밀양시의 경제지표(단위: 개소,억원). * 부가세 신고대상이 아닌 업종(농업분야 등)은 제외 (자료=국세통계센터) copyright 데일리중앙
최근 6년간 밀양시의 경제지표(단위: 개소,억원).
* 부가세 신고대상이 아닌 업종(농업분야 등)은 제외 (자료=국세통계센터)
ⓒ 데일리중앙

[데일리중앙 김영민 기자] 밀양시는 그동안 추진해 온 다양한 주요 역점 시책사업이 침체됐던 지역경제 시장의 경제지표 개선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25일 밝혔다.

2016년 이후 시가 유치한 각종 공모사업은 모두 276건에 1조원에 이른다. 또 경남진로교육원, 국립무형유산원 밀양분원, 스마트팜 혁신밸리 등 국가 및 도 단위 공공기관도 전력을 다해 유치하며 큰 성과를 보이고 있다. 

2022년 외부 방문객은 1500만명에 육박해 3년 연속 연평균 7%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2023년을 '밀양 방문의 해'로 지정해 외부 방문객 1600만명을 목표로 지역특화 문화관광자원 브랜드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에 통계청이 공개하는 각종 지표에 따르면 기초자치단체인 밀양시가 대형 국책사업 및 각종 공모사업의 적극적인 유치를 통해 세계적인 경제 위기 상황 등 어려운 여건 속에서 슬기롭게 대처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지난 8월 말 통계청이 발표한 지역별 고용조사에서 밀양시 고용률(15~64세)은 67.3%로 경남 시 지역 평균 66.6%보다 높다. 반면 실업률은 1.3%(전년 동기 대비 1.1%↓)로 도내 시부 최저를 보여 어려운 경제 여건 속에서도 고용 상황이 개선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국세통계센터에서 작성한 밀양시 소재 기업체 연도별 매출 신고 현황을 살펴보면 지난 2017년 일반·간이·법인 사업자 수는 모두 1만3087개에서 2022년 말 기준 1만5151개로 2064개 늘었다. 매출 신고액은 2017년 5조2834억원에서 2022년 말 기준 7조6912억원으로 2조4078억원 증가한 걸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한 직장건강보험 가입자 수 또한 밀양시의 경제지표 개선 상황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밀양시의 2014년 건강보험 가입업체 수는 2186개에서 2023년 9월 기준 3621개로 1435개 증가했다. 같은 기간 종사자 수는 2만1307명에서 3만964명으로 9657명 증가해 양질의 일자리가 대폭 증가했다.

또한 최근 4년간 청년 신규 창업자 수는 738명, 청년 사업자 수는 2020년 480명에서 2023년 569명으로 현재 심각한 청년 문제인 니트족의 급증에도 밀양시 청년 사업자 수는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인터넷, SNS 기반 사업 확대로 전체 창업자 중 통신판매업 창업자 수가 35~41%를 차지함으로써 현재 트렌드를 반영해 밀양시 통신판매업의 확대 및 안정적 운영을 위한 기반 조성에 많은 힘이 실릴 전망이다.

시 관계자는 "영남권 허브도시 밀양이라는 비전 아래 양질의 일자리 확대 및 지역경제 활성화가 최우선 과제임을 인식하고 앞으로도 경기 회복을 위한 다양한 시책으로 서민경제에 버팀목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김영민 기자 shyeol@dailiang.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