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은 15일 국회에서 의원총회와 상임전국위원회를 잇따라 열어 박근혜 비대위 출범을 승인했다.
박근혜 비대위 체제는 오는 19일 서울 영등포 타임스퀘어 아모리스홀에서 열리는 전국위원회 의결을 거쳐 공식 출범할 예정이다.
위원장 1인을 포함한 15인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되는 비대위가 설치되면 당 최고위는 즉시 해체된다. 이 비대위는 최고위의 권한을 넘겨받아 당의 대대적인 쇄신을 주도하는 한편 내년 4.11 총선까지 당 운영을 책임지게 된다.
사실상 한나라당이 '이명박 당'에서 '박근혜 당'으로 권력 이동이 일어나는 것이다. 박근혜 전 대표의 위기의 당을 구하기 위해 전면에 복귀한 것은 지난 2006년 6월 대표직에서 물러난 뒤 5년 6개월 만이다.
비대위 체제를 출범시킴으로서 당의 실권을 장악한 박근혜 전 대표는 당 쇄신과 개혁을 강도높게 추진할 것으로 보안다. 특히 당 쇄신 과정에서 정책·정치적 측면에서 이명박 정부와의 차별화에 역점을 둘 것으로 보여 여권 내부의 권력 지형에도 상당한 변화가 예상된다.
이날 오전에 있었던 한나라당 의원총회는 이러한 분위기를 극명하게 보여줬다. 모든 동력과 관심이이 '박근혜'를 향해 쏠렸다.
친박(친박근혜)계 최경환 의원은 "박근혜 대표님이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취임하시면 그동안 소위 친박으로 불리던 사람, 다 뒤로 물러나고 당직 근처에 얼쩡거리지 않겠다. 이제는 친이, 친박, 쇄신파니 우리끼리 나뉘어서 총질해서는 안 된다고 본다"며 박 전 대표에게 힘을 실어줬다.
그동안 의총에서 다반사였던 설전 대신 격려와 덕담이 오갔고 단결과 화합을 강조하며 박근혜 비대위에 전권을 주자는 결론도 별다른 잡음 없이 일사천리로 결정됐다.
황영철 원내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을 통해 "오늘 200회 의원총회를 개최하게 되었는데, 지금까지 실시한 어떤 의원총회보다도 가장 뜻 깊고 희망이 보이는 그런 의원총회였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의총이 끝날 즈음에는 의원들이 박근혜 전 대표에게 한 말씀해달라고 요청하는 등 이날 의총은 말 그대로 '박근혜를 위한' 의총이었다.
이에 고무된 듯 박 전 대표는 상기된 표정으로 연단으로 나가 일장 연설을 시작했다.
박 전 대표는 "우리에게는 주어진 시간이 많지 않다. 짧은 시간동안 우리가 얼마나 국민에게 다가가고, 또 얼마나 국민의 삶을 챙기고, 어려움에 대해서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을 하고, 국민과 함께하느냐, 이것에 우리 당의 명운이 달려 있다고 생각한다"며 국민의 신뢰회복에 방점을 찍었다.
그는 아울러 "'우리가 추구하는 최고의 가치를 향해서 우리 모두가 하나가 되어서 열심히 함께 노력해 나가자.' 이 말 속에 친이, 친박 문제라든가, 이런 저런 문제가 다 녹아 있다"며 화합과 단결을 강조했다.
의총 직후 열린 상임전국위원회도 '박근혜를 위한' 것이었다.상임전국위원 78명 가운데 48명이 출석했고, 이날 안건인 당헌개정안 의결에는 47명이 참석해 만장일치로, 박수로 가결했다. 당헌개정안의 주요 내용은 비상대책위원회를 당헌상의 명백한 기구로 설치하는 것이고, 당헌 111조를 신설해 비상대책위의 근거 규정을 명확히 하는 것이었다.
지금까지 당헌 92조 2항에는 대통령 후보 경선에 출마하고자 하는 자는 1년 6개월 전에 당직을 사퇴하기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날 상임전국위원회에서는 이 규정에 단서를 달아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과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은 당직 사퇴에 있어서 예외로 하기로 했다. 다시 말해 대권주자인 박근혜 전 대표를 위해 당권·대권 분리의 예외 규정을 마련한 것이다.
박근혜 전 대표 비대위원장 추대나 당헌개정안은 상임전국위에서 의결된다고 해서 법적 효과가 곧바로 발생하거나 대외적인 효과가 생기는 것은 아니다.
이두아 원내대변인은 "오늘 상임전국위에서 의결된 부분은 오는 19일 오후 2시 타임스퀘어 아모리스홀에서 개최되는 전국위원회에서 최종 결정되게 될 것"이라며 "오늘은 상임전국위원회의 의결이 있었을 뿐이고 법적인 효과와 절차가 마무리되는 것은 19일 전국위원회에서 의결되면서"라고 설명했다.
박 전 대표는 상임전국위원이지만 자신과 관련된 사항이 이날 안건으로 회부된 때문인지 회의장에는 참석하지 않았다.
박근혜 비대위는 앞으로 박 전 대표와 쇄신파가 전날 합의한 대로 재창당을 뛰어넘는 당 쇄신을 위해 정책 변화는 물론이고 당명 개정 가능성까지 열어두고 강력한 쇄신 드라이브를 걸 것으로 보인다. 또한 총선을 겨냥한 인재 영입 등 고강도 인적 쇄신도 잇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김주미 기자 kjsk@dailiang.co.kr
더 두고 봐야 알수 있을 듯
워낙 이명박 정부의 실정에 따른 민심이반이 커
내년 총선에서도 100석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