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데일리중앙
총리후보자가 과거의 칼럼에서 자유롭게 의견을 개진하거나 주장하던 글 중에 일부의 글이 총리의 자질을 의심케 하는 내용이 들어있음에 국민들은 총리 직 수행에 문제가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수 천 개의 글 중에 몇 개의 글이 문제가 있다고 총리 직을 수행하는데 결격사유가 된다고는 생각지 않는다. 그러나 역사인식의 문제가 있다면 당연히 총리 직을 맡기에는 부족하다고 본다.
청와대는 총리임명에 있어서 나름대로 여론에 신경을 쓴 듯하다. TK, PK 출신 총리를 피하고 법조인출신 피하고 관료출신을 피하고 학자나 연구원출신도 피하고 대통령의 수첩인사도 피해야하고 회전문 인사도 피하다보니 충북출신의 대통령과 별 인연이 없는 언론인을 총리후보로 낙점했다. 역대정권에 대하여 나름대로 쓴 소리를 마다하지 않았던 언론인을 선택했지만 야당으로부터는 극우인사라는 평을 듣고 불교계로부터는 기독교 편향적인 인사라는 말을 듣고 있다.
게다가 위안부문제에 대하여는 일본에 사과 받을 필요가 없다는 발언으로 여성계로부터 지명철회 요구를 받고 있는 실정이다. 문 후보자는 몇몇 언론사를 상대로 왜곡보도를 했다는 이유로 법적대응을 하겠다고 함으로써 시중 언론으로부터도 연일 집중공격을 받고 있다. 이 정도의 여론이면 문창극 총리후보자에 대해서는 동정의 여지가 없어 보인다. 안대희 총리 후보자의 낙마에 이어 문창극 후보의 낙마를 예상하는 국민들이 많다.
ⓒ 데일리중앙
총리로 임명된다고 해도 재임기간 동안 박근혜 정부는 야당과 여론에 시달릴 수밖에 없다. 대통령에 대한 지지도가 떨어지고 대통령에 대한 적극 반대 층이 늘어나면 대통령은 임기동안 안정적인 정부운영을 할 수 없는 것은 불문가지다. 청와대가 나름대로 여론을 살피고 야당의 요구도 수용했다고 믿었지만 총리의 역사인식에 대한 국민의 반감이 커져서 총리로서 부적합하다고 믿는 국민들이 많다.
청와대는 문창극 국무총리의 임명에 대하여 신중히 제고를 해야 할 입장에 있다. 총리로 밀어붙였는데 국회의 동의를 받지 못하는 상황이 온다면 박근혜 정부는 엄청난 혼란과 시련이 따를 것이다. 연이어 새로 지명한 장관후보자에 대한 청문회의 과정도 결코 순탄하지 못할 것으로 본다. 문창극 총리후보자의 개인적인 품성은 총리로서 부족함이 없을지라도 총리 직은 국민적인 동의가 있어야 한다는 것은 상식적인 일이다.
앞으로 국무총리에 대한 검증은 까다롭게 진행될 것이고 어떤 사람이 나오더라도 살아온 역정과 이력이 심판대에 오르게 될 것이다. 황희 정승과 같은 사람이 오더라도 총리임명에 대한 청문회를 통과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말이 시중에 회자되고 있는 실정이다. 안타깝지만 청와대는 문창극 후보자에 대한 임명철회를 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이병익 기자 shyeol@daili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