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 "학력평가, 맞춤형 교육 위해 꼭 필요"
상태바
이 대통령 "학력평가, 맞춤형 교육 위해 꼭 필요"
  • 주영은 기자
  • 승인 2009.02.23 09:40
  • 댓글 3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학업성취도 평가 존폐 논란에 쐐기... 교사들도 더 나은 교육 위해 경쟁 펼쳐야

▲ 이명박 대통령은 23일 제9차 정례 라디오 연설을 통해 최근 존폐 논란이 일고 있는 학업성취도 평가 시험에 대해 폐지 반대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사진=청와대)
[데일리중앙 주영은 기자] 이명박 대통령은 23일 성적 조작 파문으로 존폐 논란이 강하게 일고 있는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해 폐지는 없을 것이라고 분명한 선을 그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전국에 방송된 라디오 연설을 통해 "이번 학업성취도 평가가 학교별로 처음 시행되다보니 일부 문제가 있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며 "철저히 조사해서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분명한 것은 정확한 학력 평가 자료를 가져야 맞춤형 교육정책을 제대로 세울 수 있다는 사실"이라며 "이번에 나타난 문제를 보완해서 내년부터는 완벽한 평가 체제를 갖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교육 당국에 주문했다.

그러면서 학생들 뿐만 아니라 이들을 가르치는 선생님들 사이에서도 교육 경쟁이 일어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번 발표를 계기로 학교와 선생님들 사이에 더 나은 교육을 위한 선의의 경쟁이 일어났으면 좋겠다"며 "정부도 앞으로는 열심히 노력하는 선생님들이 더 좋은 대우를 받도록 하겠으며, 잘 가르치는 학교에 더 많은 지원을 하겠다"고 밝혔다.

또 점수 위주로 돼 있는 현재의 선발 방식을 바꿔 성장 잠재력에 창의력과 인성을 갖춘 학생들이 입학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입시제도 개선 필요성도 강조했다.

대통령은 "이 시대가 필요로 하는 인재는 시험 문제만 잘 푸는 그런 학생이 아니라 창의력과 폭넓은 사고력을 갖춘 사람이 되어야 한다"며 "이런 관점에서 대학입시제도도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특히 학생 선발 방식과 관련해 대학의 자율성을 유독 강조해 최근 일부 대학에서 거론하고 있는 본고사 도입 등을 염두에 둔 발언이 아니냐는 관측을 낳았다. 다만 자율의 방향은 사교육을 조장하는 것이 아닌 공교육을 정상화하는 방향이어야 한다는 전제를 달았다.

이 대통령은 "정부도 선발 방식을 다양화하고 선진화하기 위해 '입학사정관제' 를 확대하는 등 적극 지원하겠다"며 "적어도 지금의 중학생들이 입시를 치를 때쯤엔 사교육의 도움 없이도 원하는 대학에 갈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 정부의 목표"라고 밝혔다.

☞  이명박 대통령 9차 라디오 연설 바로가기

주영은 기자 chesill@dailiang.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3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용회 2009-02-23 22:48:53
이명박이가 대통령이면 대통령이지 지가 교육을 알아. 일제고사의 병폐가 만천하에 드러났는데도, 평가 강행, 막가파식 정치 아냐. 교사들이 경쟁을 하면 더 나은 교육이 된다고? 교사들이 협동해야 더 나은 교육이 되지. 이명박은 무엇이든 아는 만물박사인가? 가장 잘 안다는 경제는 못 살리면서, 교육 어쩌고 저쩌고 가관이다. 교육은 선생님들 의견을 들어야 해. 교육관료들 또한 교육을 몰라. 어디 교육관료들이 시행한 정책

전영후 2009-02-23 12:18:02
연설 누가 듣는 사람이 있다고.
차라리 김구라가 나와서 구라치는게 더 낫지.
세상이 이렇게 팍팍하면 좀 따뜻하고 안아주는 맛이 있어야지
매번 그말이 그말. 있는 놈, 잘난 놈한테만 잘해주겠다.

양배추 2009-02-23 10:43:48
모든 걸 시장의 메카니즘에 맡기겠다는 무서운 발상이다.
그런 중간에 낙오하는 사람은 어떻게 하겠다는 것인가.
그에 대한 대책도 없이 무작정 경쟁시켜 살아남은 사람만
성공하는 시대를 열겠다는 것인가.
이게 국민 모두를 생각해야 하는, 특히 가난하고 힘없는 사람들을
더욱 살갑게 보살펴야 하는 대통령이 할 말인지 의문이다.
없는 사람은 평생 없이 살고, 있는 사람은 자자손손 복 누리며 살자는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