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 오월광주... 쿠데타와 학살 그리고 저항
상태바
아~ 오월광주... 쿠데타와 학살 그리고 저항
  • 석희열 기자
  • 승인 2020.05.18 09:51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늘 광주민중항쟁 40돌 - '세월은 흘러가도 산천은 안다' 주제로 기념식
40년 전 항쟁의 중심지였던 5.18민주광장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1980년 5월 17일 밤 12시를 기해 비상계엄이 전국으로 확대된 뒤 총검으로 완전 무장한 공수부대원들이 광주시내로 시가행진하며 진출하고 있다. '피의 광주'를 예고하고 있다. (사진=5.18기념재단) copyright 데일리중앙
1980년 5월 17일 밤 12시를 기해 비상계엄이 전국으로 확대된 뒤 총검으로 완전 무장한 공수부대원들이 광주시내로 시가행진하며 진출하고 있다. '피의 광주'를 예고하고 있다. (사진=5.18기념재단)
ⓒ 데일리중앙

[데일리중앙 석희열 기자] 12.12 군사 반란으로 실권을 장악한 전두환 등 신군부는 1980년 5월 17일 밤 12시를 기해 비상계엄을 전국으로 확대했다.

총검과 곤봉으로 완전 무장한 특전사 공수부대원들이 광주시내로 시가행진하며 진출했다.

민주화의 봄이 전두환 신군부에 의해 완전히 제압당하며 '피의 광주'를 예고하는 전주곡이었다.

5월 18일(일요일, 맑음) 오전 10시 전남대 앞. "계엄 해제하라" "휴교령 철폐하라"고 외치는 학생들과 공수부대의 첫 대치가 벌어졌다.

5월 19일(월요일, 오후부터 비) 새벽 3시 공수부대 11여단 병력이 광주역에 도착하는 등 계엄군이 광주에 증파되기 시작했다.

오전 10시 금남로, 수만명의 시위대와 공수부대가 대치했다. 터질 듯한 긴장감이 흘렀다.

숨이 막힐 것 같은 긴 침묵을 깨고 누군가 "전두환 물러가라"고 외쳤다. 동시에 '탕, 탕탕탕...' 공수부대가 시위대를 향해 발포했다.

이렇게 '피의 광주'가 시작됐다.

980년 5월 18일 민주화 요구 시위대를 향한 계엄군의 유혈 진압이 시작되면서 공수부대원이 대학생을 곤봉으로 무차별 내리치며 공격하고 있다. (사진=5.18기념재단) copyright 데일리중앙
980년 5월 18일 민주화 요구 시위대를 향한 계엄군의 유혈 진압이 시작되면서 공수부대원이 대학생을 곤봉으로 무차별 내리치며 공격하고 있다. (사진=5.18기념재단)
ⓒ 데일리중앙

민주화의 봄. 쿠데타와 학살. 그리고 저항···. 한국의 80년은 그렇게 시작됐고 어느새 '오월광주'는 한국 민주화의 정신적 고향이 됐다.

핏빛 진달래와 함께 찾아온 반도 남쪽의 5월은 언제나 그렇게 80년대 청춘들에게 원죄의 무게를 더해줬고 눈물과 분노, 새로운 결의와 다짐 그리고 투쟁이 늘 함께했다.

돌이켜보면 84년 이후 전국의 대학가가 들끓기 시작하고 캠퍼스가 온통 몸살을 앓으면서 드디어 '광주'가 신열을 토해내며 그 나신을 드러냈다. 투쟁의 서막을 알리는 대학가의 해오름식은 이후 '6월항쟁'으로 이어졌고 캠퍼스는 단 하루도 조용한 날이 없었다.

그렇게 광주는 그때 청춘들에겐 벗어날 수 없는 굴레였으며 스스로의 의지로도 어찌할 수 없는 멍에였다.

어느 누구도 광주로부터 자유로울 수가 없었다. 오직 광주만이 그들의 영감과 사상적 전위를 차지하고 있었다.

이렇듯 80년대 우리의 민주화 여정은 거칠었고 힘겨웠으며 이따금 몸져 누웠다.

1993년 김영삼 문민정부 출범과 5월. '5.18'이 국가기념일로 제정되고 광주 망월묘역에서는 사상 처음으로 방송3사 합동 실황 중계방송이 열렸다.

40년 전 항쟁의 중심지 옛 전남도청 앞 광장에서는 분수대를 중심으로 2만여 명의 시민과 학생들이 모여 '민족민주화대성회'를 열고 대대적인 횃불행진을 벌였다. (사진=5.18기념재단) copyright 데일리중앙
40년 전 항쟁의 중심지 옛 전남도청 앞 광장에서는 분수대를 중심으로 2만여 명의 시민과 학생들이 모여 '민족민주화대성회'를 열고 대대적인 횃불행진을 벌였다. (사진=5.18기념재단)
ⓒ 데일리중앙

노무현 참여정부 시절인 2003년에는 5.18광주민중항쟁이 정부행사로 승격됐다. 이후 5.18 공식 기념식 본 행사 때마다 '임을 위한 행진곡'이 제창됐다.

2004년 5월 18일 광주 망월동 5.18민주열사묘역에서 열린 5.18민주화운동 24돌 기념식에 참석한 노무현 대통령은 국가원수로는 처음으로 '임을 위한 행진곡'을 다른 참석자들과 함께 불렀다. 대통령은 이 땅의 참민주를 위해 먼저 가신 임들을 위로했다.

그러나 보수정권인 이명박 정부는 출범 이듬해인 2009년 '임을 위한 행진곡'을 5.18 본 행사에서 내쳤다. 역사와 상식을 뒤엎은 것이다.

이후 5.18을 앞두고 해마다 '임을 위한 행진곡' 기념곡 지정과 제창을 둘러싸고 국론이 둘로 갈라져 논란이 격화됐다.

다행히 촛불시민혁명으로 2017년 정권을 교체했고 그해 광주시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37돌 5.18기념식에는 문재인 대통령 등 1만여 명이 '임을 위한 행진곡'을 함께 불렀다. 

'임을 위한 행진곡'이 오월광주의 상징적인 노래라는 국민의 상식이 되살아난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017년 5월 18일 5.18광주항쟁 37돌 기념식에서 절절한 사연이 담긴 편지를 읽은 뒤 눈물을 흘리는 유족을 안아주며 함께 눈시울을 붉히고 있다. (사진=청와대) copyright 데일리중앙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017년 5월 18일 5.18광주항쟁 37돌 기념식에서 절절한 사연이 담긴 편지를 읽은 뒤 눈물을 흘리는 유족을 안아주며 함께 눈시울을 붉히고 있다. (사진=청와대)
ⓒ 데일리중앙

광주항쟁 40돌을 맞은 올해 5.18광주민주화운동 기념식은 18일 오전 10시부터 40년 전 항쟁의 중심지였던 5.18민주광장(옛 전남도청 앞)에서 '세월은 흘러가도, 산천은 안다' 주제로 열린다.

국가보훈처 주최로 열리는 5.18기념식은 방송인 김제동씨의 사회로 도입영상, 국민의례, 경과보고, 편지낭독, 기념사, 기념공연,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순으로 60분 간 진행된다.

이번 기념식은 예년과 달리 경과보고를 남녀 대학생이 낭독함으로 5.18을 지나간 일이 아닌 살아있는 역사로 제대로 알고 기억해 나가겠다고 다짐할 계획이다.

기념공연에서는 5.18민주화운동 40주년을 맞아 작곡가 정재일씨와 영화감독 장민승씨가 제작한 '내 정은 청산이오'가 최초로 공개될 예정이다.

'내 정은 청산이오'는 5.18민주화운동 40주년 헌정공연으로 5.18희생영령에 대한 추모의 마음과 함께 미래세대에게 5․18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잊지 않아야 한다는 의미를 담은 환상곡이다.

 

석희열 기자 shyeol@dailiang.co.kr

묶음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경중 2020-05-18 14:20:54
이상하네. 댓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