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우리 사회에 만연되어 있는 '갑'의 횡포
상태바
[칼럼] 우리 사회에 만연되어 있는 '갑'의 횡포
  • 이병익 기자
  • 승인 2014.10.10 17: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병익(칼럼리스트이자 정치 평론가)

▲ 이병익 칼럼리스트.
ⓒ 데일리중앙
사회생활을 하다보면 직업, 신분, 성별, 학벌, 연령등에서 우위에 있는 자와 하위에 있는 자간의 명확한 구분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를테면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원청업체와 하청업체, 정규직 신분과 비정규직 신분, 고위직과 하위직, 남성과 여성, 서울의 대학 출신과 지방대학 출신, 대학졸업자와 대학졸업을 못한 사람 , 나이가 많은 사람과 나이가 적은 사람 간에도 갑과 을의 관계가 은연중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 계급적으로 혹은 계층별로 상하가 명확히 구분되어 있어 분명한 갑과 을의 관계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의 경우는 갑의 자제력과 배려가 있어서 을은 갑의 우월적 지위나 횡포를 느끼지 못하고 있는 경우다. 갑과 을의 상생은 우리사회의 건강한 표본이다. 갑과 을의 관계는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것이라서 완전히 해소되기를 바랄 수는 없지만 최소한의 관계설정은 필요한 것이다. 갑은 늘 우위에 있고 을은 갑의 존재를 늘 신경 쓰며 비위를 건드리지 않으려고 노력하는 것으로는 갑과 을의 관계가 정립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갑과 을의 심각한 갈등과 문제는 사회적 분위기가 민주화로 갈수록 노출되고 문제가 발생해왔다. 최근 뉴스에 갑의 횡포에 억눌려왔던 불만이 연속적으로 표출되어 마치 근래에만 발생한 것처럼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이 문제는 뿌리 깊은 관행에 의해서 덮여져 왔을 뿐이다. N 우유회사의 직원의 폭언문제, 국내굴지의 A화장품회사의 밀어내기 판매, 편의점의 점주와 본사간의 위약금문제라든지 L홈쇼핑회사의 문제 등 전 업종에 걸쳐서 갑의 횡포가 극에 달해 있다.

우월적 지위를 이용한 갑질이 계속 되는 한 우리사회는 곪아터지게 될 것은 자명한 일이다. 산업계뿐만 아니다. 더 서러운 것은 국민에 대한 공무원들의 갑질이다. 국민의 세금을 먹고 사는 공무원이 국민들 알기를 우습게 아는 풍토야말로 도려내야할 최대의 적이다. 공무원들도 합당한 일을 하고 세금을 내는 측면에서는 국민과 같은 부류로 볼 수 있지만 처음부터 국리민복을 위해 애쓰겠다고 공무원을 시작한 사람들이 초심을 잃고 사회적 강자의 입장에 서게 되는 것은 국민에 대한 배신이다.

공무원들은 법과 원칙에 따라 일하고 국민을 계도하는 의무도 있을 뿐 아니라 국민의 요구사항을 청취하고 국민의 편에서 일해야 하는 것이다. 잘못된 관행이나 타성은 버려야하고 국민의 불편을 끼치는 일은 검토하고 시정해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의무다. 공무원들의 편법으로 인하여 이득을 취하거나 손해를 입은 국민이 있으면 안 되는 것이다.

최근 모 국회의원이 세월호 유가족 대표들과 회식을 갖고 나오다 시비 끝에 대리기사를 폭행케 한 사건은 국민의 대표인 국회의원으로서의 갑질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언론에서 대서특필한 사건에 대해서 아직도 심각성을 느끼지 못했는지 본인은 현재까지 폭행관련을 극구 부인하고 있다. 또 현역 사단장이 성추행으로 구속까지 당한 사건을 보면서 우월적 지위를 이용한 갑질이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계급이 낮은 여군 부사관이 용기를 내어 폭로했기 때문에 이 사건이 불거졌지만 감추어진 유사한 사건이 많이 있었을 것이라는 추측을 하게한다.

사건이 터질 때마다 갑의 횡포를 규탄하고 재발방지를 주장하지만 언제 어디서 터질지 모르는 뇌관과 같아서 마음 졸이면서 지켜보게 된다. 갑이라고 생각되는 지위에 있다면 을에 대한 입장을 생각해보기를 바란다. 갑이라고 완벽한 수퍼 갑이 될 수는 없다. 자신도 어느 상황에 몰리면 을의 입장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을 해야 한다. 갑도 될 수 있고 을도 될 수 있는 것이 우리사회의 구조이다.

갑의 지위에 있다고 생각했을 때 을에 대해서 진심으로 잘해야 한다. 갑도 어느 순간에 추락하여 을의 입장이 될 수 있음을 기억하고 갑의 지위에 대한 성찰을 해야 할 것이다.

이병익 기자 webmaster@dailiang.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