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수익을 창출하겠다던 은행들이 우량기업에 대한 대출은 늘리고, 비우량기업에 대한 대출은 줄이는 방식으로 수익을 창출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정무위 정우택(새누리당) 정무위원장은 26일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통해 "전체 기업 중 신용등급 5~10등급의 비우량기업에 대한 은행권의 대출 비중은 2010년 49.3%였다가 매년 줄어 2014년 6월에는 42.3%까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보신주의를 탈피해 새로운 수익을 창출하겠다던 은행들이 높은 신용등급과 재정건전성을 가진 기업들에 대한 대출을 늘리는 방식으로 수익을 창출하고 있는 것이다.
국내 시중은행 중 자산규모가 가장 큰 국민은행의 경우 2010년 비우량기업에 19조원의 대출을 해주고 그 비중 또한 31%였다. 하지만 2014년 기준 대출액은 12조원으로 대폭 줄어 그 비중 역시 18%까지 감소했다.
정부가 사실상 대주주로 있는 우리은행 역시 2010년 44조원, 75%에 육박했던 비우량기업 대출이 2014년 들어 40조원, 67% 수준으로 떨어졌다.
신한은행이나 하나은행 또한 비우량기업에 대한 대출액을 줄이는 모습을 보였다.
애초 기업 지원을 목적으로 설립된 중소기업은행이나 산업은행은 비우량기업에 대한 대출을 해마다 조금씩 늘렸지만 은행권 전체 금액의 20% 수준으로 한계가 있었다.
기업 운용에 자금 압박을 받는 가운데 오갈데 없는 비우량 중소기업들은 지역은행이나 국책은행, 신용보증기금의 문을 두드릴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그나마도 지역은행들 중 비우량 대출 비중을 늘린 곳은 대구은행뿐이고 부산이나 광주 등 다른 지역은행은 거의 동결됐다.
신용보증기금의 비우량기업(7~15등급)에 대한 보증액수는 2011년 22조원에서 2014년 27조원으로 매년 증가했다. 전체 기업 보증액 대비 비율도 2011년 58%에서 2014년 65%까지 매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정우택 정무위원장은 "은행들이 보신주의로 일관할수록 경제회복은 더뎌질 수밖에 없다"라며 "은행들이 기업에게 대출을 하여 이자수익을 챙긴다는 생각보다 비우량기업이라도 미래성을 보고 투자를 하여 수익을 창출한다는 생각을 가져야 한다"고 제언했다.
주영은 기자 chesill@daili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