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인구 5127만명... 저출산·고령화 점점 심화
상태바
우리나라 인구 5127만명... 저출산·고령화 점점 심화
  • 최우성 기자
  • 승인 2017.08.31 14: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도권에 전체 인구의 49.5% 집중... 유소년인구 줄고 고령인구 늘고, 1인가구도 증가
▲ 통계청이 31일 발표한 '2016 인구주택총조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총 인구는 5127만명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49.5%인 2539만명이 수도권에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인구 및 연평균증가율. (자료=통계청)
ⓒ 데일리중앙

[데일리중앙 최우성 기자] 2016년 11월 1일 기준 우리나라에 사는 총 인구(외국인 포함)는 5127만명으로 2015년(5107만명)보다 20만명(0.4%) 증가했다. 내국인 4986만명, 외국인 141만명(2.8%)이다.

남자가 2570만명, 여자 2557만명으로 2015년에 비해 남자는 9만명, 여자는 11만명 늘어난 것
으로 집계됐다.

저출산 고령화에 따라 65세 이상 고령인구(678만명)가 15세 미만 유소년인구(677만명)를 추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인가구도 갈수록 증가 추세를 보였다.

통계청은 31일 이런 내용의 '2016 인구주택총조사- 전수집계결과'를 발표했다.

통계청의 이 자료는 등록센서스 방식(행정자료를 활용해 현장조사 없이 통계를 생산하는 방식)에 따른 집계 결과다.

우리나라 총 인구 가운데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인구가 2539만명으로 49.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비율은 2005년 48.5%, 2010년 49.2%, 2015년 49.5%, 2016년 49.5%로 수도권 집중 현상이 계속되고 있음을 보여줬다.

시도별 인구는 경기가 1267만2000명(24.7%)으로 가장 많고 서울 9805000명(19.1%), 부산 344만명(6.7%), 경남 334만명(6.5%) 순이었다.

시군구별로는 수원시 121만명, 창원시 105만명, 고양시 99만9000명 순이었다.

인구 증가가 큰 시군구는 경기 화성시(61만명→ 66만명, 7.7%), 경기 하남시(16만명→ 20만명, 26.2%), 인구 감소가 큰 시군구는 서울 강동구(44만명→ 43만명, -3.4%), 대구 달서구(61만명→ 60만명, -1.7%)가 꼽혔다.

유소년인구(0-14세)는 감소하고 고령인구(65세 이상)는 증가해 고령인구가 유소년인구를 추월했다.

유소년인구는 2015년 691만명(13.9%)에서 2016년 677만명(13.6%)로 줄었고, 고령인구는 같은 기간 657만명(13.2%)에서 678만명(13.6%)로 늘었다.

이에 따라 노령화지수(유소년인구 100명에 대한 고령인구 비)는 2015년 95.1에서 2016년 100.1로 1년 새 5.0 증가했다.

▲ 저출산 고령화가 지속되면서 지난해 우리나라 인구 가운데 유소년인구(0-14세)는 줄고 고령인구(65세 이상)는 증가하면서 노령화지수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 유소년, 생산연령, 고령인구 추이(1990~2016년). (자료=통계청)
ⓒ 데일리중앙

17개 광역시도 중 노령화지수가 100 이상은 9개(52.9%), 229개 시군구 가운데 노령화지수가 100 이상인 곳은 156개(68.1%)로 농촌으로 갈수록 인구 고령화가 극심함을 엿보게 했다.

외국인 141만명(총인구의 2.8%) 가운데 중국계 국적 외국인이 71만명으로 50.0%를 차지했다.

중국계 외국인은 한국계 49만명(34.7%), 중국계 20만명(14.3%), 대만계 2만명(1.1%)이다.

2015년에 비해 중국(1만3000명), 우즈베키스탄(7000명), 베트남(6000명) 국적 외국인이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11월 1일 기준 우리나라의 총 가구는 1984만 가구로 2015년 1956만 가구에 비해 28만 가구(1.4%)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체 가구 중 965만 가구(48.6%)가 수도권에 분포돼 있으며 이는 2015년 952만 가구(48.7%)에 비해 13만 가구(1.4%)가 증가한 수치다.

1인가구가 갈수록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보였다.

가구원 수 규모별로 보면 1인가구가 27.9%로 가장 많고 2인가구(26.2%), 3인가구(21.4%), 4인가구(18.3%), 5인이상 가구(6.2%) 순이었다.

2015년에 비해 1인가구는 0.7%포인트, 2인가구는 0.1%포인트 증가한 반면 3인가구는 0.1%포인트, 4인이상가구는 0.7%포인트 감소했다.

지난 1년 간 시도별 가구 증가율은 세종(20.2%), 제주(4.3%), 충북(2.9%)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1인가구 비율을 보면 강원이 32.1%로 가장 높고 경기가 23.8%로 가장 낮았다.

연령계층별 규모는 70세 이상 17.8%, 30대 17.6%, 20대 17.2% 순이다. 60대의 1인가구 증가(67만 가구→ 74만 가구)가 가장 두드러졌다.

평균 가구원 수(일반가구)는 2.51명으로 2015년 2.53명보다 0.02명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2016년 11월 1일 기준 주택은 1669만호로 2015년 1637만호보다 33만호(2.0%) 증가했다. 참고로 2015–2016 가구 증가는 28만 가구다. 가구 증가(28만) 수치보다 주택 증가(33만)가 조금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빈집은 112만호로 전체 주택의 6.7%이며 2015년 107만호(6.5%)에 비해 5만호(0.2%p) 늘었다.

아파트는 1003만호(60.1%)로 2015년 981만호(59.9%)에 비해 22만호(0.2%p)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아파트 비율은 1990년(22.6%), 1995년(37.7%), 2000년(47.8%), 2005년(52.7%), 2015년(59.9%), 2016년(60.1%) 등으로 해마다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단독주택은 2016년 396만8000호(23.8%)로 2015년 397만4000호(24.3%)에 비해 6000호 감소했다.

최우성 기자 rambo435@dailiang.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