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알파 모바일 기프티콘, 7년간 유효기간 만료로 500억원 허공에
상태바
KT알파 모바일 기프티콘, 7년간 유효기간 만료로 500억원 허공에
  • 김용숙 기자
  • 승인 2023.10.21 12: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터무니없이 짧은 유효기간 및 만료 전 안내 등 소비자 보호조치 전혀 없어
공정위가 환불이나 기간 연장 가능한 표준약관 권고했지만 시정 안해
모바일 상품권의 제도적 구멍이 소비자 피해 키우고 발행처 낙전수입 보장
윤관석 의원 "실태파악 통해 소비자가 보호받을 수 있도록 제도개선 시급"
최근 7년간 ㈜케이티알파에서 발행한 기프티쇼 비즈 거래 현황(단위: 억원(천만단위 반올림)). (자료=케이티알파)copyright 데일리중앙
최근 7년간 ㈜케이티알파에서 발행한 기프티쇼 비즈 거래 현황(단위: 억원(천만단위 반올림)). (자료=케이티알파)
ⓒ 데일리중앙

[데일리중앙 김용숙 기자] 국내 최대의 B2B 업체 '케이티(KT)알파'가 지난 7년간 판매한 모바일 상품권의 미사용 규모가 무려 5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간 거래되는 B2B 모바일 상품권의 특성상 환불이나 기간 연장이 안 되는 조건으로 할인을 제공하고 있어 소비자는 짧은 유효기간과 만료 전 알람이 이뤄지지 않아 상품권을 날리는 경우가 대다수디.

이에 공정거래위원회는 환불이나 기간 연장이 가능한 표준약관을 권고했지만 이 역시 B2C 거래에만 한정된 상황이다.

21일 국회 산자위 윤관석 의원이 공정위에서 제출받은 ㈜케이티알파가 발행한 기프티쇼 비즈(기업형 모바일 상품권) 거래 현황에 따르면 지난 7년간 유효기간 만료로 소멸된 모바일 상품권이 500억원에 달했다.

이에 반해 B2C 모바일 상품권의 최대 기업인 카카오톡은 지난 7월 약관 개정을 통해 ▷현금 환불의 경우 10% 수수료를 수취하고 ▷카카오 안에서 소비할 수 있는 '쇼핑 포인트'로 환불할 경우 수수료를 받지 않는다. 

B2B 모바일 상품권의 대표주자로 꼽히는 케이티알파 기프티쇼 비즈는 프로모션·이벤트 경품 발송뿐만 아니라 명절, 생일 등 임직원 복지 선물 목적으로 발송하는 쿠폰 비중도 크게 늘고 있는 추세다 .

2017년부터 올해 8월까지 지난 7년간 케이티알파에서 발행한 기프티쇼 비즈는 모두 2978억원으로 그중 17%에 해당하는 498억원이 유효기간 만료로 소멸됐다. 상당 부분이 발행처의 낙전수입(상품권 구매 물량이 다 쓰이지 않아 발생하는 부가수입)으로 이어졌다는 게 윤 의원의 분석이다.

# 회사원 A씨는 명절 상여금으로 받은 모바일 백화점 상품권을 쓰지도 못하고 환급도 못 받았다. 백화점 상품권(10만원)으로 기재돼 있어 교환권이 아닌 일반 모바일 상품권으로 오인해 미처 교환하지 못했고 유효기간 도래 안내 문자도 받지 못한 채 한 달의 유효기간이 끝나버린 것이다.

# B씨는 가전제품을 구매하고 받은 100만원 상당의 가전제품 상품권을 날렸다. 남편 카드로 가전제품을 구매한 B씨는 평소 문자를 잘 확인하지 않는 남편의 핸드폰으로 온 상품권을 확인하지 못했고 유효기간 도래 안내 문자조차 없어 유효기간 한 달이 만료돼 사용할 수 없게 됐다.

최근 5년간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주요 모바일 상품권 업체 소비자피해 현황(단위: 건). (자료=한국소비자원)copyright 데일리중앙
최근 5년간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주요 모바일 상품권 업체 소비자피해 현황(단위: 건). (자료=한국소비자원)
ⓒ 데일리중앙

이처럼 소비자 피해도 다수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최근 5년간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주요 모바일 상품권 업체 12곳의 소비자 피해(476건) 가운데 ㈜케이티알파가 60%(283건)를 차지했다. 283건 중 272건이 유효기간 만료로 인한 피해였다.

공정거래위원회는 2020년 12월 '신유형 상품권 표준약관'의 개정을 통해 상품권 종류와 상관없이 유효기간을 1년 이상으로 설정하고 만료 30일 전 통지, 유효기간 경과 뒤 잔액의 90% 반환 등을 권고하고 있다.

하지만  케이티알파는 '기프티쇼 비즈는 기업 간의 거래로 '신유형 상품권 표준약관'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며 유효기간을 30일에서 90일로 매우 짧게 설정하고 유효기간 만료 전 최종 사용자에게 안내를 하지 않는 등 소비자 보호를 위한 조치를 전혀 시행하지 않고 있다.

윤관석 의원은 "모바일 상품권의 제도적 구멍이 소비자 피해를 키우고 발행처의 낙전수입을 보장해주고 있다"며 "기업형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해 정확한 시장규모와 소비자 피해 규모를 파악해 소비자가 최소한의 보호라도 받을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윤관석 의원실은 점점 커지는 모바일 상품권 시장이니만큼 소비자를 위한 세심한 상품 운용이 가능해질 수 있도록 계속해서 살피겠다는 입장이다.

김용숙 기자 shyeol@dailiang.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