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소비 1148조원, 노동소득 1040조원... 생애주기적자 108조원 발생
상태바
총소비 1148조원, 노동소득 1040조원... 생애주기적자 108조원 발생
  • 김용숙 기자
  • 승인 2023.11.28 14: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통계청, 28일 '2021년 국민이전계정' 발표
노동연령층 179조원 흑자, 유년층과 노년층 각각 151조원과 136조원 적자
17세 때 3527만원 최대 적자, 27세부터 흑자, 43세에 1792만원 최대 흑자
2021년 우리나라 1인당 생애주기적자. (자료=통계청)copyright 데일리중앙
2021년 우리나라 1인당 생애주기적자. (자료=통계청)
ⓒ 데일리중앙

[데일리중앙 김용숙 기자] 2021년 우리나라 총소비는 1148조8000억원(전년 대비 6.2% 증가), 노동소득은 1040조원(전년 대비 5.7% 증가)으로 총 108조8000억원(전년 대비 11.6% 증가)의 생애주기적자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생애주기는 개인이 현재 노동을 통해 소비를 충족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소비, 노동소득 및 그 차액인 생애주기적자(소비에서 노동소득 차감)로 구성된다. 소비가 노동소득보다 클수록 생애주기적자 규모가 증가하는 것이다.

노동연령층(15~64세)은 179조7000억원 흑자, 유년층(0~14세)과 노년층(65세 이상)은 각각 151조8000억원과 136조7000억원 적자가 발생했다.

1인당 생애주기적자는 17세 때 3527만원으로 최대 적자, 27세부터 노동소득이 소비보다 많은 흑자에 진입해 43세에 1792만원으로 최대 흑자를 기록했다. 61세부터는 다시 적자로 돌아서는 것으로 집계됐다.

통계청은 28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1년 국민이전계정' 자료를 발표했다.

국민이전계정은 소비와 노동소득의 관계를 연령 변화에 초점을 두고 연령집단(세대) 간 경제적 자원의 흐름을 파악하는 통계다.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정부 및 가계의 재정부담 등 미래 위험 요인을 선제적으로 발견하고 대비하기 위한 정책 수립에 활용된다. 우리나라에서는 국제연합(UN)에서 2013년 펴낸 국민이전계정(NTA, National Transfer Accounts) 지침서에 따라 작성해 2019년 1월 처음 공표됐다.

2021년 국민이전계정. (자료=통계청)copyright 데일리중앙
2021년 국민이전계정. (자료=통계청)
ⓒ 데일리중앙

우리나라 생애주기적자를 연도별로 보면 흑자 진입 연령은 27~28세로 일정한 편이나 적자 재진입 연령은 61세로 나타나 2010년의 56세에서 점차 늦춰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고령화 현상 심화에 따른 인구구조 변화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1인당 소비가 가장 많은 시기는 17세로 3575만원이며 유년층은 교육소비 영향이 크고, 노년층은 보건소비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1인당 노동소득은 16세까지는 없다가 점차 증가해 43세(3906만원)가 정점이며 이후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생애주기별로 발생한 적자 부분은 이전(-4조5000억원)과 자산재배분(113조3000억원)을 통해 충당된다.

생애주기별 흑자 발생 연령에서 순유출된 연령재배분액이 적자 발생 연령으로 순유입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연령층에서 179조7000억원이 순유출돼 유년층과 노년층에 각각 151조8000억원과 136조7000억원 순유입됐다.

이전의 경우 노동연령층에서 순유출된 275조4000억원은 유년층과 노년층으로 각각 152조4000억원, 118조6000억원씩 이전됐다. 공공이전과 민간이전 모두 유년층과 노년층에서 순유입, 노동연령층에서 순유출이 발생했다.

정부는 노동연령층에서 순유출(174조1000억원)된 세금과 사회부담금 등으로 유년층(83조2000억원)과 노년층(90억9000억원)에 교육·보건서비스, 아동수당, 기초연금 등으로 배분한 것(공공이전)으로 나타났다.

민간이전 역시 공공이전과 마찬가지로 노동연령층에서 순유출이 발생해 유년층과 노년층으로 순유입되는 흐름을 보였다.

가족부양 등을 위해 노동연령층에서 101조3000억원이 순유출돼 유년층과 노년층에 각각 69조2000억원, 27조6000억원이 순유입됐다.

자산을 매개로 한 자산재배분은 유년층에서 6000억원 순유출, 노동연령층(95조7000억원)과 노년층(18조2000억원)은 순유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자산재배분은 모든 연령에서 순유출됐고 순유출의 대부분은 노동연령층에서 발생했다.

2021년 소비 총량값은 전년 대비 6.2% 증가한 1148조8000억원인데 노동소득이 없는 유년층에서 151조8000억원, 노동연령층 817조원, 노년층 180조원으로 모든 연령층에서 소비가 증가했다.

노동소득은 전년 대비 5.7% 증가한 1040조원으로 노동연령층의 임금소득이 대부분(95.8%)을 차지했다. 1인당 임금소득이 높은 연령대는 40대, 자영자 노동소득이 높은 연령대는 50대다. 전년 대비 임금소득은 5.4% 증가, 자영자 노동소득은 13.3% 증가했다.

김용숙 기자 shyeol@dailiang.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