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 천안함 사고 초기대응 부실 증거 속속 드러나
상태바
해군, 천안함 사고 초기대응 부실 증거 속속 드러나
  • 석희열 기자
  • 승인 2010.04.01 13: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조정식 의원 해경 자료 상세 분석 결과... 침몰하는 선체에 부이 묶지도 않아

▲ 천안함 침몰 전후 이동 내역.
ⓒ 데일리중앙
천안함 침몰 사고에 정부와 해군의 초기대응이 매우 부실했고 그로 인해 큰 피해가 발생했다는 야당과 일부 언론의 주장이 사실로 드러났다.

국토해양위원회 민주당 조정식(경기 시흥을) 국회의원은 1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해양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상세 분석한 결과, 사고 당시 해군이 침몰에 따른 기초적인 조치조차 취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조 의원이 공개한 해양경찰청의 '상황보고서'와 '경찰전보용지' 자료에 따르면, 해군은 천안함이 수직으로 세워져 침몰했던 27일 새벽 2시25분에 앵커와 길이 50미터의 부이 2개(마름모형 길이 50cm 철제, 직경 50cm 원통형)를 연결해 해경 501함 단정을 이용, 천안함 10-20m 앞에서 투묘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이것은 '천안함에 직접 연결한 것이 아님'이라고 밝히고 있어 침몰 후 위치 파악을 위한 부이가 함수(뱃머리)에 설치되지 않았음이 명확해졌다. 함수에 부이를 설치했다고 발표한 국방부의 주장과 정면 배치되는 것이다.

국방부는 지난달 29일 브리핑을 통해 "함수 부분은 부표를 설치했으나 떨어져나갔다"고 해명했다. 해군도 지금까지 부이를 함수에 설치했으나 조류에 부이가 유실돼 구조작업에 어려움을 겪었다고 주장해왔다.

▲ 해경이 작성한 천안함 사고 당시 상황보고서(대외 비밀문서라 모자이크 처리함). (자료 제공=조정식 의원)
ⓒ 데일리중앙
해양경찰청의 상황보고서 자료에 따르면 국방부와 해군의 이 같은 해명과 주장은 모두 거짓인 것이다.

해경 자료를 종합해보면, 해군과 해경은 해류의 유속이 빠른 사고 지역에서 배가 침몰할 경우 해류에 휩쓸려 이동하는데도 침몰 장소에 부이를 설치했을 뿐 침몰 후 천안함을 추적하기 위해 천안함에 부이를 고정시키지 않았다는 결론이 나온다.

결국 천안함은 사고 지점에서 해류에 따라 이동해 사고 다음날인 27일 오전 12시40분에는 완전히 물 속으로 가라앉았고, 눈으로는 확인하지 못하게 됐다.

이후 해군은 함미와 함수를 찾기 위해 27일과 28일 해군 해난구조대를 투입했으나, 인명 구조 활동에 필요한 초기 30여 시간을 허비한 것.

전문가들은 배의 침몰과 같은 사고의 경우 선체 위치 확보를 위해 사고 선체에 직접 부이를 설치함에도 불구하고 앵커를 이용해 설치했다는 사실을 납득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또한 사고 발생 이후 선체가 물에 잠기기까지 약 3시간 동안 해군과 해경함이 사고 지점에 있었고, 시간도 충분했지만 부이를 천안함에 설치하지 않은 것은 의문으로 남는다.

조 의원은 "이로 인해 시간이 급박하게 요구되는 구조활동이 지연된 것은 이후 발생할 수 있는 인명 피해를 키웠다는 책임을 면하기 어렵게 됐다"고 군 당국의 초기대응 실패를 질타했다.

그는 "군과 정부 당국의 발표와는 달리 사고 직후 현장에서 해군의 초기 대응이 매우 부실했고 그로 인해 피해를 더욱 키웠음이 사실로 밝혀지고 있다"며 "정부는 사고와 관련된 모든 사실을 투명하게 국민에게 공개해야 한다"고 강하게 촉구했다.

석희열 기자 shyeol@dailiang.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