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란선 문어' 벌써 두번재 발견...여름철 피서객 안전 빨간불
상태바
'파란선 문어' 벌써 두번재 발견...여름철 피서객 안전 빨간불
  • 주영은 기자
  • 승인 2019.08.07 15: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파란선 문어' 벌써 두번재 발견...여름철 피서객 안전 빨간불

copyright 데일리중앙
파란선 문어

맹독성을 지닌 것으로 알려진 아열대성 파란선 문어가 부산 기장 앞바다에서만 올해 들어 두번째 발견됐다. 이에 바다 생태계 변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 아니냐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특히 두차례 모두 같은 어린 학생에 의해 발견돼 바닷속 파란선 문어 개체 수에 대한 궁금증과 더불어 피서객들이 불안에 휩싸였다.

7일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은 이달 초 부산 기장군 일광면 갯바위에서 박모(15) 군이 잡아 신고한 문어가 맹독성이 있는 파란선 문어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앞서 6월에 발견된 것도 박 군이 잠자리채를 이용해 갯바위에서 채집해 신고한 것에 이어 두번재 발견이다.

파란선 문어는 주로 아열대해역에 서식하며 10㎝ 안팎 작은 크기로 귀여운 모양이나 침샘 등에 복어 독으로 알려진 '테트로도톡신'을 함유하고 있어 맨손으로 만지다가 물리면 생명에 위험하다.

맹독성 문어가 어린 학생에게 잡히자 기장 앞바다에 이미 해당 개체가 광범위하게 분포한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전문가는 파란선 문어의 유입 경로로 쿠로시오 난류로 추측하고 있다.

오석진 부경대학교 연안환경생태학과 교수는 "우리나라 동해의 경우 매년 0.02도씩 온도가 높아지고 있고 쿠로시오 난류와 쿠로시오 난류의 지류인 대만난류와 동한난류의 힘도 강해지고 있다"면서 "고래나 참치와 달리 운동능력이 미약한 문어의 경우 이 난류가 컨베이어 벨트 역할을 해 얹혀 왔다고 추정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유생(알을 포함 성체가 되기 전 상태) 단계에서 난류에 밀려왔다면 바닷속에서 발견되는 개체는 한두 마리 정도에는 그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면서 "이미 토착화해 기장 앞바다에서 산란한 것일 수도 있는 등 여러 가능성이 있어 (연구를) 해봐야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국립수산과학원은 파란선 문어가 원래부터 국내에 서식하는 종일 수도 있다고 밝혔으며 김영혜 국립수산과학원 연근해자원과 연구원은 "2014년 기준 FAO(국제연합 식량농업기구) 자료를 보면 파란선 문어 분포지역으로 우리나라를 포함한 북태평양으로 표기돼 있지만, 아직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적은 없다고 나와 있다"면서 "하지만 작년부터 나온 SCI 논문 등을 보면 우리나라도 원래 분포가 확인된다는 내용이 잇따른다"고 말했다.

또 "출연 양상을 알기 위해 자료를 거슬러 올라가 검토하다 보니 2008년 경북 영덕에서 다이버가 '문어가 독이 있는데 종류를 알고 싶다'며 사진을 제보한 것이 있는데 파란선 문어였다"면서 "분포는 원래 있었지만, 최근 몇 년 사이 제주 해수욕장 등에 출몰하며 국민들 경각심이 높아지자 발견율이 높아졌을 가능성도 있다. 실질적인 생태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고 밝혔다.

만약 무늬가 화려한 문어나 생물체를 발견한다면 독이 있을 수 있으므로 최대한 접촉하지 않아야 한다.

주영은 기자 chesill@dailiang.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