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병원 메르스 관리, 소외된 장그래들
상태바
대형병원 메르스 관리, 소외된 장그래들
  • 허윤하 기자
  • 승인 2015.06.15 15: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파견업체·비정규직 직원, 메르스 확진 우수수... 민간병원에 맡긴 탓

▲ 응급이송요원, 청원경찰, 구급차운전자 등 대형병원의 파견업체 및 비정규직 근로자들은 중동기호흡증후군(메르스)의 안전망에서 소외된 채 근무하다가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았다.(사진=블로그)
ⓒ 데일리중앙
[데일리중앙 허윤하 기자] 대형병원의 간접고용 비정규직 근로자들이 중동기호흡증후군(메르스)에 감염된 사실이 속속 드러나면서 병원 측의 관리 소홀이 문제가 되고 있다.

값싼 노동, 고용 불안전성 등 사회적 차별에 우는 장그래들이 메르스 사태 속에서도 외면을 당하고 있는 것이다.

지난 12일 메르스 확진 환자로 분류된 137번 환자는 삼성서울병원의 파견업체에서 근무하는 환자침대 이송요원으로 발열 등의 증상이 있었지만 일주일 넘게 근무했다.

심지어 병원 측 관리 대상에서도 정규직이 아닌 탓에 빠져 있었던 사실이 뒤늦게 발견됐다.

그동안 일정 거리 내에 1~2시간 접촉해야 메르스 전염력이 높아진다는 이론에도 불구하고 서울아산병원의 청원경찰인 92번 환자는 마스크를 쓰지 않은 감염자를 10분 간 안내했다가 감염됐다.

메르스 감염 및 의심 환자와 밀접 접촉 가능성이 큰 사설구급차 운전자 133번 환자와 동승요원인 145번 환자는 보호장구를 제대로 착용하지 않고 근무하다가 확진 판정을 받았다.

비단 서울 뿐 아니라 대전 대청병원에서 컴퓨터업체 외주직원으로 2주간 파견근무를 했던 143번 환자는 역학조사나 격리대상에 포함되지 않아 그 상태로 부산으로 이동까지 했다.

자기 식구 챙기기에 급급했던 대형병원들의 조치 속에서 철저히 소외된 것이다.

이에 새정치연합 문재인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메르스 감염 및 의심환자 관리는) 애초에 민간병원에 맡겨 둘 일이 아니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특정 재벌 기업(삼성서울병원)에 대한 정부의 봐주기와 국민의 생명과 안전보다 병원의 영리를 우선시한 정부의 그릇된 인식이 문제를 더욱 키웠다"고 비판했다.

뛰어난 의료진과 국내 최고 장비를 갖춰 전국 각지에서 환자가 몰려들던 서울 대형병원들은 미어터지는 환자들로 인해 응급실을 시장통으로 만들었고, 높은 환자 밀집도 탓에 대규모 메르스 확산을 낳았다.

환자 관리도, 직원 관리도 철저하지 못했던 대형병원의 민낯이다.

노동당 강상구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대형병원은 비용절감을 위해 '비핵심 업무'라는 이유로 응급실 환자이송 등을 외주화했다"며 "메르스가 확산되는 상황에서 비정규직 노동자가 안전관리의 사각지대에 방치된 것은 이윤을 앞세운 의료 영리화의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부와 대형병원은 비정규직 노동자에 대한 안전조치를 실시해야 한다"며 "더불어 의료 상업화와 영리화 정책의 전면 수정에도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허윤하 기자 yhheo616@dailiang.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